경피용 결핵 백신서 1급 발암물질 ‘비소’ 검출
부모들 “이미 맞은 아이는 어쩌나” 분통
식약처 “미량만 체내 흡수..과도한 불안”
1세 미만 영아에게 접종하는 결핵 예방 경피용 BCG 백신에서 기준치 초과의 비소가 검출돼 회수 조치에 들어간 가운데 청와대 국민청원 등에선 불안감을 해소하지 못한 부모들의 후속조치 요청이 잇따라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주무부처인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제품 회수 조치 이외의 다른 후속 대책은 마련하지 않고 있다고 밝혀 논란이 예상된다.
지난 7일 식약처는 일본에서 전량 수입하는 BCG 백신의 첨부용액(생리식염수 주사용제)에서 기준치 0.1ppm이 넘는 0.26ppm(0.039㎍)의 비소가 검출돼 수입업체 측에서 회수에 나섰다고 밝혔다. ICH Q3D 가이드라인에서 하루 최대 비소(주사)의 허용량은 1.5㎍으로 BCG 백신은 기준치의 38분의 1정도다. 회수조치된 제품은 KHK147(유효기간 2018년 12월 6일, KHK148(2019년 6월 18일), KHK149(2019년 11월 26일)로 총 14만 2125팩이다.
그러나 맘카페와 청와대 청원에서는 이미 영아에게 BCG 백신을 맞힌 부모들이 피해보상과 관련자 처벌, 백신을 맞은 아이들의 신체 검사 등을 요구하는 글이 계속해서 올라오고 있다. 온라인에서는 “비소는 1급 발암물질인 데다 체내에 한 번 들어오면 평생 나가지 않는다고 하는데 당장은 아니더라도 앞으로 이상반응이 생길 가능성이 있을까 염려된다”, “성인을 기준으로 하는 기준치라 성인보다 훨씬 작은 아이들이 입을 수 있는 피해는 훨씬 큰 것이 아니냐”는 글이 쏟아지고 있다.
식약처는 일단 안전성에 대해 크게 염려할 필요가 없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식약처 관계자는 “일본 후생성이 지난 5일 회수조치를 하지 않고 출하정지만 한 것은 안정성에 큰 무리가 없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며, 한국도 출하정지 조치만 할 수도 있었지만 수입업체에서 일단 회수조치를 하기로 먼저 결정했기 때문에 일본보다 강도 높은 조치를 취한 것”이라면서 “제조과정에서가 아닌 백신을 보관하는 유리 용기에서 검출된 것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경피용 주사제를 맡는 대상이 영아이기 때문에 비소 함유 기준치도 성인이 아닌 영아로 되어 있으며, 도장형 경피용 주사제를 놓을 때 첨부용액이 체내에 흡수되는 양은 10분의 1에서 100분의 1밖에 되지 않아 실제 비소가 체내에 흡수되더라도 기준치의 380분의 1 혹은 3800분의 1밖에 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입장 발표에도 낮은 부작용과 작은 흉터, 내피용 백신 부족 등을 이유로 무료로 접종할 수 있는 내피용 백신 대신 경피용 백신을 택한 부모들의 불안을 잠재우긴 역부족이다. 특히 아무리 미량이라 하더라도 비소는 체외에 잘 배출되지 않는 중금속의 일종이라는 점에서 불안이 가중되고 있다. 식약처는 이에 대해 “독성연구원의 연구 결과 체내에 들어온 비소는 72시간 내 배출되는 것으로 파악했다”고 일축했다.
한편 경피용 백신을 대체하는 내피용 백신의 국내 보유량이 내년도 6월까지 40만명 이상 접종이 가능할만큼 남아있는 상황이다. 다만 피내용 백신으로 몰려 당일 방문 땐 접종이 안될 수도 있어, 사전에 접종이 가능한 지 확인 후 방문하는 것이 좋다. 전국 지정의료기관 372개소는 예방접종도우미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민나리 기자 mnin1082@seoul.co.kr
부모들 “이미 맞은 아이는 어쩌나” 분통
식약처 “미량만 체내 흡수..과도한 불안”
1세 미만 영아에게 접종하는 결핵 예방 경피용 BCG 백신에서 기준치 초과의 비소가 검출돼 회수 조치에 들어간 가운데 청와대 국민청원 등에선 불안감을 해소하지 못한 부모들의 후속조치 요청이 잇따라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주무부처인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제품 회수 조치 이외의 다른 후속 대책은 마련하지 않고 있다고 밝혀 논란이 예상된다.
결핵 예방 백신 내피용과 경피용 차이
식품의약품안전처 제공
그러나 맘카페와 청와대 청원에서는 이미 영아에게 BCG 백신을 맞힌 부모들이 피해보상과 관련자 처벌, 백신을 맞은 아이들의 신체 검사 등을 요구하는 글이 계속해서 올라오고 있다. 온라인에서는 “비소는 1급 발암물질인 데다 체내에 한 번 들어오면 평생 나가지 않는다고 하는데 당장은 아니더라도 앞으로 이상반응이 생길 가능성이 있을까 염려된다”, “성인을 기준으로 하는 기준치라 성인보다 훨씬 작은 아이들이 입을 수 있는 피해는 훨씬 큰 것이 아니냐”는 글이 쏟아지고 있다.
식약처는 일단 안전성에 대해 크게 염려할 필요가 없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식약처 관계자는 “일본 후생성이 지난 5일 회수조치를 하지 않고 출하정지만 한 것은 안정성에 큰 무리가 없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며, 한국도 출하정지 조치만 할 수도 있었지만 수입업체에서 일단 회수조치를 하기로 먼저 결정했기 때문에 일본보다 강도 높은 조치를 취한 것”이라면서 “제조과정에서가 아닌 백신을 보관하는 유리 용기에서 검출된 것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경피용 주사제를 맡는 대상이 영아이기 때문에 비소 함유 기준치도 성인이 아닌 영아로 되어 있으며, 도장형 경피용 주사제를 놓을 때 첨부용액이 체내에 흡수되는 양은 10분의 1에서 100분의 1밖에 되지 않아 실제 비소가 체내에 흡수되더라도 기준치의 380분의 1 혹은 3800분의 1밖에 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입장 발표에도 낮은 부작용과 작은 흉터, 내피용 백신 부족 등을 이유로 무료로 접종할 수 있는 내피용 백신 대신 경피용 백신을 택한 부모들의 불안을 잠재우긴 역부족이다. 특히 아무리 미량이라 하더라도 비소는 체외에 잘 배출되지 않는 중금속의 일종이라는 점에서 불안이 가중되고 있다. 식약처는 이에 대해 “독성연구원의 연구 결과 체내에 들어온 비소는 72시간 내 배출되는 것으로 파악했다”고 일축했다.
한편 경피용 백신을 대체하는 내피용 백신의 국내 보유량이 내년도 6월까지 40만명 이상 접종이 가능할만큼 남아있는 상황이다. 다만 피내용 백신으로 몰려 당일 방문 땐 접종이 안될 수도 있어, 사전에 접종이 가능한 지 확인 후 방문하는 것이 좋다. 전국 지정의료기관 372개소는 예방접종도우미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민나리 기자 mnin1082@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