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첫 한중 외교안보대화 조율
中, 남북긴장 속 北에 ‘무언의 압박’
러도 韓에 잇단 관계 복원 메시지
조선중앙통신은 26일 홈페이지에 전날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극동연방대에서 열린 북러정상회담 사진을 공개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회담에 앞서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2019.4.26 연합뉴스
11일 외교 소식통에 따르면 한중은 오는 18일 서울에서 첫 외교안보대화를 개최하는 방안을 최종 조율 중이다. 한중 외교안보대화는 지난달 26일 윤석열 대통령과 리창 중국 총리 간 회담에서 합의된 양국 고위급 대화 채널로, 양국의 외교부 차관과 국방부의 국장급 관료가 참석하는 2+2 대화 협의체다. 2013년과 2015년 국장급으로 열었다가 중단됐고 차관급으로 격상해 처음 여는 자리인데 무엇보다 한중이 안보 현안을 두고 직접 마주 앉는 창구를 갖추는 것만으로도 북한에 적잖은 메시지를 줄 것이란 분석이다.
강준영 한국외국어대 교수는 “북한과 러시아가 원하는 ‘북중러’ 3각 구도에 부정적이던 중국이 남북 관계 긴장이 고조된 상황에서 한국과 안보 관련 대화를 하는 것 자체가 북한에 ‘자의적으로 행동하지 말라’는 무언의 압박이 될 수 있다”고 했다.
게다가 한일중 정상회의 이후 북중 사이에서는 다소 불편한 기색들이 잇따라 포착되고 있다. 북중은 수교 75주년을 맞은 올해를 ‘우호 친선의 해’로 정해 놓고도 눈에 띄는 이벤트가 없었다. 그러다 지난달 27일 한일중 정상회의에서 ‘한반도 비핵화’가 거론되자 북한은 곧장 외무상 담화로 반발했고 군사정찰위성 2호기를 발사하며 불만을 표시했다. 중국은 최근 2018년 북중 정상회담을 계기로 다롄에 설치한 양국 정상의 ‘발자국 동판’을 제거한 것으로 알려졌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북한에 대한 불편함을 드러낸 것으로 풀이된다.
북러 간 군사협력은 계속되고 있지만 러시아 측에서 최근 한러 관계 복원 의지를 잇달아 내비치는 것도 주목할 만하다. 푸틴 대통령이 “한러 관계가 악화하지 않기를 희망한다”고 말한 데 이어 게오르기 지노비예프 주한러시아대사도 10일(현지시간) 매체 인터뷰를 통해 한국은 러시아와의 관계를 회복하기 원하지만 미국과의 동맹 관계 탓에 제약받고 있다며 양국 관계의 변화 필요성을 역설하기도 했다. 박원곤 이화여대 교수는 “최근 한러 모두 관계 관리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어 푸틴 대통령의 방북이 한러 관계를 해치거나 결정적인 영향을 주진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4-06-12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