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조선중앙통신 “만리경-1호 정상작동” 보도
우주총국 “12월 1일부터 정식 정찰 임무 착수”
김정은 “만리 굽어보는 ‘눈’과 때리는 ‘주먹’ 수중에”
북한, 정찰위성 ‘만리경-1호’ 발사 성공
북한은 21일 오후 10시 42분 28분께 평안북도 철산군 서해위성발사장에서 신형위성운반로케트 ‘천리마-1’형에 정찰위성 ‘만리경-1’호를 탑재해 성공적으로 발사했다고 조선중앙TV가 22일 보도했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현지에서 발사 상황을 참관하고 “국가항공우주기술총국과 연관기관의 간부들과 과학자, 기술자들을 열렬히 축하”해주었다고 전했다. (조선중앙TV 화면) 2023.11.22
연합뉴스
연합뉴스
조선중앙통신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이날 오전 10시 국가항공우주기술총국 평양종합관제소를 방문해 궤도에 진입한 만리경-1호의 작동 상태 등을 파악했다고 보도했다.
이 자리에서 기술총국은 김 위원장에게 “‘만리경-1호’가 앞으로 7~10일간의 ‘세밀한 조종공정’을 마친 뒤, 12월 1일부터 정식 정찰 임무에 착수하게 된다”고 보도했다.
김 위원장이 이 자리에서 이날 오전 9시 21분 수신된 태평양 지역 괌 상공에서 앤더슨 미 공군기지와 아프라항 등 미군의 주요 군사기지 구역을 촬영한 항공우주 사진들을 봤다고 통신은 덧붙였다.
북한 김정은, 국가항공우주기술총국 평양종합관제소 방문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22일 오전 10시 국가항공우주기술총국 평양종합관제소를 방문하고 궤도에 진입한 정찰위성 ‘만리경-1’호의 작동상태와 세밀조종진행정형, 지상구령에 따른 특정지역에 대한 항공우주촬영진행정형을 료해(점검)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22일 보도했다. 2023.11.22
연합뉴스
연합뉴스
김 위원장이 언급한 ‘눈’은 군사정찰위성을, ‘주먹’은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북한은 전날 밤 발사한 만리경-1호 발사가 성공적이었다고 발표했지만, 한미 당국은 성공 여부에 대해 밝히지 않고 있다.
북한 “정찰위성 성공적 발사…궤도에 정확히 진입”
북한은 22일 전날 밤 발사한 군사정찰위성 1호기 ‘만리경-1호’의 발사가 성공적으로 이뤄졌다고 밝혔다. 조선중앙통신은 이날 “국가항공우주기술총국은 2023년 11월 21일 22시 42분 28초에 평안북도 철산군 서해위성발사장에서 정찰위성 ‘만리경-1호’를 신형위성운반로켓 ‘천리마-1형’에 탑재해 성공적으로 발사했다”고 보도했다.발사장면 지켜보는 김정은.2023.11.22
연합뉴스
연합뉴스
일본 교도통신 등에 따르면 일본 정부 관계자는 “궤도에 진입할 속도에는 이르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정보 수집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우리 군 관계자는 “북한은 서둘러 성공했다고 발표했지만 그것을 액면 그대로 받아들일 수는 없으며, 한미, 한미일이 긴밀히 공조해 여러 식별된 상황을 공유, 분석해 판단 내릴 것”이라고 말했다.
북미항공우주방위사령부(NORAD)는 새로운 물체가 우주에 진입하면 수 시간 안에 관련 정보를 발표하는데, 이날 오전 9시 30분 현재 북한 정찰위성에 대한 정보는 실리지 않았다.
북한 김정은, 국가항공우주기술총국 평양종합관제소 방문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22일 오전 10시 국가항공우주기술총국 평양종합관제소를 방문하고 궤도에 진입한 정찰위성 ‘만리경-1’호의 작동상태와 세밀조종진행정형, 지상구령에 따른 특정지역에 대한 항공우주촬영진행정형을 료해(점검)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22일 보도했다. 2023.11.22
연합뉴스
연합뉴스
장영근 국가안보전략연구원 미사일센터장은 연합뉴스에 이를 검증하는 데 탑재체에 따라 최소 1∼2개월 정도 소요된다며 “이 기간에 실제 영상 촬영을 시험적으로 수행하고 영상 품질을 향상시키는 작업을 수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북한이 미국의 괌 기지를 촬영했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기술 수준 노출을 우려해 이를 공개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언론에 공개된 북한 우주발사체 천리마 1형
북한이 탄도미사일 기술을 이용해 발사한 우주발사체 ‘천리마 1형’의 잔해가 서해에 추락한 지 15일 만인 16일 인양돼 경기도 평택시 포승읍 해군 제2함대사령부에서 언론에 공개되고 있다. 2023. 6. 16
사진공동취재단
사진공동취재단
다만 최근 포탄 등 무기 거래를 대가로 러시아의 지원을 받거나 밀수 등을 통해 국외에서 고품질 부품을 들여와 성능을 개선했을 가능성은 남아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