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통’ 3개 통신선은
북, “남북공동연락사무소 전화 받지 않아”
북한이 청와대 핫라인을 포함해 남북 간 모든 통신 연락 채널을 완전히 차단?폐기한다고 밝힌 9일 오전, 북측이 남북공동연락사무소 업무 개시 통화를 받지 않았다고 통일부가 밝혔다.
사진은 2018년 1월 3일 판문점 공동경비구역 내 연락사무소에서 우리측 연락관이 북측과 통화를 위해 남북직통 전화를 점검하는 모습. 2020.6.9
[연합뉴스 자료사진] 연합뉴스
사진은 2018년 1월 3일 판문점 공동경비구역 내 연락사무소에서 우리측 연락관이 북측과 통화를 위해 남북직통 전화를 점검하는 모습. 2020.6.9
[연합뉴스 자료사진] 연합뉴스
2018년 1차 남북 정상회담 합의로 탄생한 공동연락사무소는 과거 개성공단 내 남북교류협력협의회 사무소로 사용하던 4층 건물에 마련됐다. 365일 대면으로 경제협력과 민간교류 등을 논의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한반도의 봄을 상징하는 장소였다. 지난해 하노이 북미 비핵화 협상 결렬 직후 북측이 철수했다가 사흘 후 복귀하기도 했다. 지난 8일 오전 공동연락사무소 통신 불통은 통신선 차단의 신호탄이었다.
남북 군사당국을 잇는 동·서해 군 통신선도 이날 끊겼다. 보수정권 시절 단절됐다가 정상화된 지 2년 만에 다시 불통 상태가 됐다. 군 통신선은 2018년 남북 장성급 군사회담 합의로 복구됐다. 군 통신선 단절로 군사적 긴장감도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와 북한 노동당 중앙위원회 본부청사를 잇는 직통전화도 개통 2년 만에 끊어졌다. 남북 정상 간 핫라인은 2018년 4월 20일 개통 이후 실제로 통화가 이뤄졌는지는 알 수 없다. 그러나 직통전화 존재 자제가 ‘톱다운’ 방식으로 이뤄진 한반도 평화프로세스의 상징이었다. 남북 경색 국면에서도 두 정상의 신뢰만큼은 변함없다는 점을 청와대가 강조했던 터라 단순한 통신선 단절을 넘어 정상 간 인간적 관계 단절을 상징한다.
다만 북한은 이날 국가정보원과 노동당 통일전선부 사이의 핫라인은 별도로 언급하지 않아 ‘최후의 보루’가 될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2000년 남북 정상회담 이후 연결된 이 핫라인은 이명박·박근혜 정부를 거치며 단절됐다. 이후 2018년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의 평창동계올림픽 고위급 대표단 파견을 계기로 복원됐다. 북한은 이 핫라인에도 호응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주원 기자 starjuwon@seoul.co.kr
임일영 기자 argus@seoul.co.kr
2020-06-10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