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첫 訪中] 혈맹 중국 손부터 잡았다… ‘정상회담 시리즈’ 포문 연 北

[김정은 첫 訪中] 혈맹 중국 손부터 잡았다… ‘정상회담 시리즈’ 포문 연 北

입력 2018-03-27 23:06
수정 2018-03-28 03:0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특사 아닌 직접 방문 의미 남달라…속내 털어 놓고 비핵화 전략 고민

北 주한미군 인정에 中 심기불편
‘김정은 방중’ 中초청 가능성 높아
김정은 베이징에서 1박 2일
김정은 베이징에서 1박 2일 지난 26일 밤 중국 베이징 댜오위타이 국빈관 주변에 공안요원들이 경비를 서고 있다. 이날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태운 21량 전용열차가 베이징에 도착하는 모습이 카메라에 포착됐다.
베이징 로이터 연합뉴스
김정은 베이징에서 1박 2일
김정은 베이징에서 1박 2일 지재룡 주중 북한대사관 대사를 태운 차량이 27일 베이징역을 빠져나오고 있다. 전날 중국을 방문한 김 위원장은 이날 오후 전용열차를 타고 베이징역을 떠났다.
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2011년 집권 이후 처음으로 중국을 방문한 것으로 27일 확인됨에 따라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특히 북·중 정상회담이 4월 말 남북 정상회담에 앞서 열려 북한이 먼저 ‘정상회담 시리즈’의 문을 열게 됐다.

김근식 경남대 정외과 교수는 이날 서울신문과의 통화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북·미 정상회담을 수락하면서 김 위원장의 생각이 복잡해졌을 것”이라며 “비핵화 대화에 대한 전략을 구축하지 못한 김 위원장이 다양한 고민을 하며 외교 수단을 시도해 보는 것으로 본다”고 해석했다. 김 교수는 최근 리용호 외무상이 북·스웨덴 외교장관 회담을 열고, 최강일 외무성 북미국 부국장이 ‘1.5트랙(반관반민) 대화’에 참석한 것도 미국의 의중을 탐색하기 위한 수단으로 봤다. 그는 “중국과는 혈맹이기 때문에 속 깊은 얘기가 가능하다”며 “2000년 남북 정상회담 전에도 사전에 중국을 방문한 바 있다”고 설명했다.

김 위원장이 특사를 파견한 것과 본인이 직접 방문한 것은 양국의 대화 내용상 큰 차이가 있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 교수는 “특사는 시진핑 중국 주석 연임에 대한 축사, 북한 정권 수립 기념일(9·9절 초청) 등을 전하는 역할이라면 북·중 정상회담은 비핵화 논의에 대해 중국에 선물을 주고 다른 선물을 받아올 수 있다”고 말했다.

최근 북측이 북·미 정상회담에서 주한미군의 주둔을 인정할 것이라는 예측이 제기되면서 중국의 심기가 불편해졌다는 분석이 나오기도 했다.

전문가들은 김 위원장의 이번 방중이 중국의 제안으로 이뤄졌을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 또 북한이 반 발짝 빠른 행보를 하면서 북·중 정상회담이 남북 및 북·미 정상회담에 앞서 열린 점도 의미를 두었다.

한국은 한·미 정상회담으로 문을 열어 4월 남북 정상회담, 5월 초 한·중·일 정상회담, 5월 말 북·미 정상회담의 수순을 밟으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북한도 한·미 정상회담 격으로 앞서 북·중 정상회담을 개최하면서 주변국 공조에 나섰다. 북·러 정상회담이 열릴 거라는 예측도 지속적으로 나온다. 과거와 달리 비핵화 정상회담이 북·미 정상회담뿐 아니라 남북 정상회담에서도 다뤄지기 때문에 선제적 행동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이번 방중은 한반도 비핵화에 ‘양날의 칼’이다. 과거 6자회담에서 중국이 적극적 중재자로 나섰듯이 문재인 대통령의 평화 로드맵을 적극 지원할 수도 있다. 다만 무역전쟁 등으로 미·중 갈등이 극대화되고 북이 양쪽을 오가며 이익만 챙기는 소위 ‘줄다리기’ 외교를 전개한다면, 공조는 약화될 수도 있다.

고유환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는 “북한이 자신의 행보를 중국 측에 설명할 필요가 있고, 북·미 회담이 잘되면 제재 완화와 경제 발전을 위해서도, 실패한다면 제재 강화에 대처하기 위해서라도 중국의 도움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경주 기자 kdlrudwn@seoul.co.kr
2018-03-28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