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정부·언론 반응
일본 정부는 27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방중과 관련해 공식 사실 확인이나 논평을 자제한 채 상황 파악에 주력했다. 그러나 이번 북·중 대화를 계기로 동북아 안보질서의 주도권을 남북한 및 미국, 중국 등에 내주는 ‘일본 패싱’의 현실화에 대한 우려가 안팎에서 나오고 있다.정부 대변인인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은 이날 오전 브리핑에서 김 위원장 방중설에 대해 “현재 최대한 관심을 갖고 정보 수집을 하는 단계”라고만 밝혔다. 그는 “일본 정부가 파악한 정보가 있느냐”는 질문에 “보도 내용에 대해 하나하나 답하는 것은 피하겠다”고 말했다. “방중이 사실이라면 목적이 뭐라고 보느냐”는 질문에도 “북한의 동향에 대해서는 평소 중대한 관심을 갖고 정보수집 및 분석을 하고 있다”고만 말했다.
고노 다로 외무상도 이날 총리관저 앞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 중이다. 북·중 관계의 진전 여부에 대해 중국으로부터 설명을 제대로 듣고 싶다”며 입장 표명을 유보했다.
이날 산케이신문은 중국 공산당 당국자의 말을 인용해 “중국을 방문한 인사는 김 위원장”이라고 단정 짓고 “북·중 양측은 올 초부터 김 위원장의 방중 시기 등에 대해서 협상했으며, 중국은 북한이 핵 포기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것을 김 위원장 방중의 전제 조건으로 달았다고 전했다. 산케이는 “이번 방중이 이뤄진 것으로 볼 때 중국이 북한으로부터 긍정적인 답변을 얻었을 가능성이 있다”며 “4월 남북 정상회담과 5월 북·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김 위원장은 이번 방중을 통해 최대 보호국인 중국 지도자와 사전 협의를 하려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에 따라 동북아 안보질서 재편에서 자국이 소외되는 상황에 대한 우려가 일본 내에서 커질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다음달 열릴 미·일 정상회담의 중요성이 일본 입장에서는 더욱 커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도쿄 김태균 특파원 windsea@seoul.co.kr
2018-03-28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