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성기 대결구도 2년 만에 재연 조짐
활주로에 착륙하는 고고도 무인정찰기
고고도 무인정찰기 글로벌호크(RQ4)가 22일 비행을 마친 뒤 경남 사천의 한 기지에 착륙해 활주로에서 이동하고 있다. 북한이 대남 전단 살포를 예고한 데 이어 이날 대남 확성기 방송 시설까지 재설치하며 남북 간 긴장이 높아지자 우리 군이 최근 도입한 글로벌호크를 작전에 투입할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됐다.
사천 연합뉴스
사천 연합뉴스
대북 확성기 가동하면 최대 24㎞ 전파
北 “전단 1200만장·풍선 3000개 준비”
6·25 70주년 25일 전후 실행 가능성 커
북한이 대남 확성기 방송 시설을 재설치하기 시작한 것은 대남 관계를 대적(對敵) 사업으로 전환한 뒤 4·27 판문점선언과 9·19 군사합의 이행을 되돌리려는 수순으로 풀이된다. 북한은 이날 대남 전단과 살포 수단 준비 상황도 공개하며 긴장감을 한껏 끌어올렸다.
北이 꺼리는 고정형 확성기
육군 9사단 교하중대 교하소초 장병들이 4·27판문점선언 직후인 지난 2018년 5월 1일 경기 파주 민간인 통제구역 내에 설치돼 있는 고정형 대북 확성기를 철거하고 있다.
서울신문 DB
서울신문 DB
그러나 2년여 만에 확성기를 복구한 북한이 선전 활동에 나선다면 남북 간 합의 이행의 효과는 물거품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군 당국 역시 대응 차원에서 확성기 시설을 복구할 가능성이 있다. 확성기 방송은 야간에도 약 24㎞, 주간에는 10㎞ 떨어진 곳까지 전달되는 ‘북한이 가장 아파하는 심리전 수단’으로 꼽힌다.
또 북측은 이날 대남 전단 1200만장과 풍선 3000개 등 살포 수단을 준비했다고 주장했다. 노동신문은 1면 기사에서 “중앙의 각급 출판인쇄 기관들에서 1200만장의 각종 삐라를 인쇄했다”며 “각이한 풍선을 비롯해 남조선 깊은 종심까지 살포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살포기재, 수단이 준비됐다”고 보도했다.
이에 6·25전쟁 70주년을 맞는 오는 25일을 전후로 북측이 비무장지대나 북방한계선(NLL) 인근에서 전단 살포에 나설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군 당국은 북측이 NLL 인근에서 선박을 동원해 전단을 살포할 가능성까지 고려하고 있다.
확성기 재설치와 전단 살포 등 대남 비방 재개는 북한이 탈북자 단체의 대북 전단 살포를 비난하며 선언한 ‘결별’의 후속 조치다. 북한은 이미 통신선 차단, 남북 공동연락사무소 폭파 등을 감행했다. 확성기 재설치는 지난 17일 북한군 총참모부 대변인의 발표에서 언급되진 않았지만 지난 5일 통일전선부 대변인이 예고한 “접경지역에서 남측이 골머리가 아파할 일판”의 하나로 풀이된다.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은 지난 4일 담화문에서 ▲금강산 관광 폐지 ▲개성공업지구 철거 ▲공동연락사무소 폐쇄에 이어 9·19 남북 군사합의 파기까지 언급했다. 김 부부장의 명을 받은 총참모부는 금강산·개성의 군대 재주둔과 감시초소(GP) 복구 등의 계획을 밝혔지만, 아직 명시적으로 군사합의 파기를 선언하지는 않은 상황이다.
서유미 기자 seoym@seoul.co.kr
2020-06-23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