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 만에 최전방 방송시설 10여곳 복구
北 초소에 다시 등장한 대남 확성기
22일 경기 파주시 접경지역에서 바라본 북측 군 초소에 대남 확성기가 설치돼 있다. 군 당국은 북한이 2018년 4·27 판문점선언 합의에 따라 철거한 최전방 비무장지대(DMZ) 대남 확성기를 지난 21일부터 재설치하는 움직임을 포착했다.
뉴스1
뉴스1
北 후속조치 따라 대북 확성기 투입 고려
북한이 2018년 4·27 판문점선언 합의에 따라 철거한 대남 확성기 방송 시설을 약 2년 만에 다시 설치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22일 군 소식통에 따르면 군 당국은 지난 21일부터 북측이 최전방 비무장지대(DMZ) 여러 지역에서 대남 확성기 방송 시설을 설치하는 움직임을 포착했다. 현재 10여곳은 이미 재설치 작업이 완료된 것으로 알려졌다.
북측이 대남 확성기 활동 재개에 나선 것은 최근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이 지시한 ‘대남 적대 사업’의 후속 조치로 풀이된다. 북측은 김 부부장 지시에 따라 대남 전단(삐라)을 대량 인쇄하는 등 심리전을 준비하고 있다. 북측은 이날 전단 1200만장을 인쇄했고, 이를 날려 보낼 풍선 3000개를 준비했다고 공언했다.
대남 확성기 철거는 판문점선언의 첫 이행 조치라는 점에서 북측이 명확한 선언 파기 의지를 드러내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과거 남북은 DMZ 일대에서 실시한 확성기 방송을 통해 상대 정권을 비난하거나 체제를 선전하는 등 심리전 활동을 벌였다. 그러다가 4·27 판문점 남북 정상회담을 앞두고 분위기 조성을 위해 상호 비방 활동을 중단했다.
이후 북측은 4·27 판문점선언 합의에 따라 2018년 5월 1일 최전방 지역 40여곳에 설치한 대남 확성기를 철거했다. 당시 남북이 합의한 판문점선언에는 “5월 1일부터 군사분계선(MDL) 일대에서 확성기 방송과 전단 살포를 비롯한 모든 적대 행위들을 중지하고 그 수단을 철폐하며 앞으로 비무장지대를 실질적인 평화지대로 만들어 나가기로 했다”고 명시했다. 이에 따라 남측도 최전방 지역 10여곳에서 운용하던 고정식과 이동식 등 총 40여대의 대북 확성기를 철수했다.
군 당국은 최근 북측의 이런 움직임을 포착하고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군 관계자는 “대남 전단 살포 준비를 비롯한 다양한 심리전 활동에 대해 예의 주시하고 있었다”고 말했다. 정부는 북측의 후속 조치에 따라 대응 수위를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남측 최전방 군 부대도 현재 보관 중인 이동식 대북 확성기를 점검 중이며 투입을 고려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주원 기자 starjuwon@seoul.co.kr
2020-06-23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