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포] 남북 135㎞ 해안포 포문 폐쇄… 연평주민 “2~3년 지나야 北 신뢰”

[르포] 남북 135㎞ 해안포 포문 폐쇄… 연평주민 “2~3년 지나야 北 신뢰”

박기석 기자
박기석 기자
입력 2018-11-01 22:40
수정 2018-11-02 00:5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적대행위 전면 중단 이후 첫날 서해 연평부대 가 보니…

육안으로 식별 가능한 北해안포 폐쇄
닫혔던 포문 1곳 개방… “조치 취할 것”
정의용 “전쟁위험 제거 위한 전기 마련”
이미지 확대
덮개 쓴 남측 고속정
덮개 쓴 남측 고속정 남북이 ‘9·19 군사합의서’에 따라 지상·해상·공중 완충구역에서 모든 적대행위를 중지하기로 한 1일 인천 옹진군 연평도 인근 해상에서 기동훈련 중인 고속정 포신에 덮개가 씌워진 모습.
연평도 사진공동취재단
남북이 해전을 치르고 포탄을 주고받던 연평도에 모처럼 평화가 감지됐다. 1일 남북이 지상·해상·공중 완충 지역에서 적대행위를 전면 중단하면서 연평도 일대 수역의 해안포 포문을 폐쇄한 것이다.

서해 최북단 연평도의 해병대 연평부대에서 바라본 북측 수역과 섬들은 고요했다. 연평도 북쪽 1.5㎞에 위치한 북방한계선(NLL) 이북에서는 중국 어선 10여척이 조업을 하고 있을 뿐이었다. 연평부대 관측소(OP)에 오르니 북측 갈도와 장재도, 서도, 육지인 개머리지역이 선명히 들어왔다. 갈도는 연평도에서 5㎞, 장재도는 7㎞, 개머리지역은 12㎞, 서도는 3㎞ 떨어져 있다.

장재도와 서도, 개머리지역에는 몇 달 전까지만 하더라도 해안포 포문들이 남측을 향하고 있었다. 개머리지역에는 지난 2010년 북측의 포 도발 당시 연평도를 집중 포격한 122㎜ 장사포들이 전개돼 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해 포함 네 차례 장재도를 방문했고, 2016년에는 갈도를 찾으면서 긴장이 높아지기도 했다.

2010년 11월에는 북측이 포탄 260여발을 연평도에 발사하는 도발을 벌이기도 했다. 북측의 포탄이 남측 군부대와 민간 지역에 떨어져 군인 2명과 민간인 2명이 목숨을 잃었다.

하지만 9·19 남북 군사분야 합의서에 따라 연평도를 포함해 서해 남측 덕적도 이북에서 북측 남포 인근 초도 이남까지 135㎞ 수역의 남북 해안포 포문이 폐쇄되면서 분위기는 반전됐다. 군 관계자는 “연평도뿐만 아니라 백령도 등 우리가 확인 가능한 지역에서 북측 동·서해 해안포의 모든 포문을 폐쇄했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북측은 일대 해안에 250~300여문의 해안포를 설치했으며, 이 중 연평도 등 서북도서와 해안을 사정권에 둔 해안포는 50~60여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연평부대 OP에서 육안으로 확인되는 개머리지역의 해안포 포문 1개는 아직 열려 있었다. 군 관계자는 “개머리지역의 포문 1개가 전에는 닫혀 있었는데 지난달 25일부터 계속 열려 있다”면서 “우리 군 당국이 북측에 포문 1개가 개방돼 있으니 조치해 달라고 하니 북측이 ‘상부에 보고해서 조치하겠다’고 했다”고 전했다.

연평도에서 나고 자라며 수차례 군사 충돌을 체험한 박태원(58) 전 어촌계장은 적대행위가 중단된 데 대해 “아직까진 피부로 와닿지 않는다”고 했다. 그는 “노무현 정부 때도 잘 진행되다가 갑자기 돌변했고 그 후 서해 5도에 많은 아픔이 잔재해 있었다”며 “한 단계 한 단계 풀어서 2~3년 후 남북 관계가 진전된다면 그때나 조금 믿음이 갈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한편 청와대 정의용 국가안보실장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를 연 뒤 브리핑에서 “남북 군사 긴장을 완화하고 신뢰구축을 촉진하는 실질적인 전쟁위험을 제거하는 중요한 전기가 마련됐다”고 ‘2018년 11월 1일’의 의미를 평가했다. 정 실장은 “수차례 교전이 발생한 서해 완충 구역에서 양측이 함포와 해안포 포구·포신에 덮개를 설치하고 포문을 폐쇄함으로써 우발적 충돌 가능성을 현저히 낮춘 것은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적대행위 전면중지 이행은 또 하나의 역사적 진전”이라며 “남북 군사분야 합의서 이행이 원활하게 진행되고 있다”고 언급했다. 연평도 국방부공동취재단

박기석 기자 kisukpark@seoul.co.kr
2018-11-02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