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 인물로 다시 읽기] (40) 조선 ‘훈남 아티스트’ 김홍도

[고전 인물로 다시 읽기] (40) 조선 ‘훈남 아티스트’ 김홍도

입력 2012-01-09 00:00
수정 2012-01-09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문인의 뜻 화폭에 품고 그림의 道 넓히다

김홍도(金弘道,1745-1806?), 그림으로 길()을 넓히다

서책더미와 서화 두루마리, 지필연묵, 파초잎사귀, , 호리병, 생황 등이 여기저기 툭툭 흩어진 방안. 그 가운데 사방관을 쓴 맨발의 선비가 당비파를 연주하고 있다. 일체의 배경이 생략된 때문인지 사물들은 비파 소리와 함께 공간을 부유하는 듯하고, 선비의 표정은 흡사 다른 시공간을 사는 듯, 꿈을 꾸는 듯, 아련하다. “종이로 만든 창과 흙벽으로 된 집에 살며 종신토록 벼슬하지 않고 그 안에서 시나 읊조리며 살려 하네라는 화제(畵題)는 주인공이 지향하는 삶의 태도일 터. 일명, 포의풍류(布衣風流). 김홍도의 자화상이 있다면, 아마도 이 그림일 것이다.

이미지 확대
포의풍류
포의풍류

아름다운 풍채와 태도에 마음이 활달하고 구애됨이 없어 사람들이 신선 같은 사람이라고 지목하였다.”(조희룡) “군의 초상을 대하고 보니 옥이 비치는 듯 난이 향기로운 듯 소문에 듣던 것보다 훌륭하며 바로 온화하고 고상한 군자의 모습이다.”(이용휴) “그 생김생김이 빼어나게 맑으며 훤칠하니 키가 커서 과연 속세 가운데의 사람이 아니다.”(홍신유) 김홍도에 대한 대체적인 평가다. 추측컨대, 용모가 꽤 준수하고 풍기는 인상이 매우 단아하고 우아했던 모양이다. 게다가 비파와 퉁소를 연주하는 솜씨까지 일품이었다고 하니, 조선 후기 최고의 훈남 아티스트를 꼽으라면 단연코 김홍도다.

김홍도라는 천리마, 정조라는 백락

김홍도는 화원(畵員)이다. 여기에는 여러 가지 의미가 함축되어 있다. 조선시대에는 도화서(圖畵署)를 설치하고 정기적으로 화원을 뽑아 국가와 왕실의 도화작업을 담당하도록 했다. 그러니까 당시 화원은 국가소속 공무원, 그것도 천시되던 손기술을 쓰는 하급공무원이었다. 게다가 그들의 업무량 또한 만만치 않았다. 각종 의궤도와 행렬도 같은 국가행사기록은 말할 것도 없고, 수시로 중국의 화보와 오래된 그림들을 모사하는가 하면, 종종 사대부들의 계모임이나 연회에도 불려 다녔으니, 자신만의 자유로운 예술을 한다는 건 언감생심. 직업의 성격이 이렇다 보니, 화원은 화원 가문에서 대를 이어 배출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런데 김홍도는 화원 집안 출신도 아니었고, 다른 화원들과 달리 자신만의 독자적인 스타일을 이뤄낸 것이다. 그의 재능이 천부적이었다고는 하나, 재능만으로 될 일은 아니다.

김홍도는 김해 김씨 가문 출신으로, 그의 집안은 하급 무반벼슬을 지낸 중인계급이었고, 그나마도 조부대부터는 벼슬한 기록이 없다. 그런 그가 어떤 경유로 화원이 되었는지는 불분명하다. 다만, “김홍도 군이 어린아이로 내 문하에 다닐 적에... 이따금 그의 솜씨를 칭찬하기도 하고 더러는 그림 그리는 방법을 일러주기도 하였다.”는 강세황의 기록으로 보아 그 주변에서 그림을 배우지 않았을까 추측할 뿐이다. 21(1765)에 화원으로서 중요한 회사를 맡았다는 기록이 있고, 29세에는 영조와 정조의 초상을 그리는 어용화사 작업에 참여하는 등 이미 20대에 그의 명성은 자자했다.

이미지 확대
송하취생도
송하취생도

그러나 김홍도를 논할 때는 누구보다도 그, 정조를 빼놓을 수 없다. ‘문화통치혹은 철인(哲人)통치를 꿈꿨던 이 깐깐한 주자주의자는 김홍도에 대한 애정을 숨기지 않았다. 정조 원년부터는 일반적인 화역(畵役)에 김홍도의 이름이 없고, 1783년에 왕실에서 유능한 화원들을 수시로 데려다 쓰기 위해 따로 시험을 치러 뽑는 차비대령화원제(差備待令畵員制)를 실시했을 때도 김홍도는 제외되었다. 김홍도를 일반 공무(公務)에서 제외시킬 정도로 정조가 특별대우했다는 얘기다. 정조는 김홍도가 그림을 그려 올릴 때마다 흡족해했다고 하고, 김홍도는 임금의 부름에 대비하여 거의 대궐 안에서 살다시피했다는 기록도 있다. “바깥사람 중에는 사실 아는 사람이 드물지만 임금께서는 미천하고 비루하다고 버려두지 않으셨으니, 김홍도는 밤마다 감격하여 눈물을 흘리면서 어떻게 보답해야 할지 몰라했다.”(강세황) 정조의 폭풍 같은 배려가 아니었다면, 화원 김홍도가 아티스트 김홍도가 될 수 있었을까. 알 수 없는 일이다. 천재도 때()가 만들어내는 법이니. 여하튼, 김홍도는 정조의 배려 덕분에 자신의 재능을 십분 발휘할 수 있었고, 덕분에 우리는 김홍도의 눈을 통해 18세기 조선의 산천과 사람들을 만날 수 있게 되었다.

문인의 뜻을 품은 단원

정조라는 백락을 얻었으니, 김홍도는 운이 좋은 편이다. 하지만 좋은 운도 운용할 줄 모르는 자들이 허다하지 않은가. 김홍도는 자신의 운을 타고, 마음을 다해 화가의 길을 걸었다. ‘문인화만을 최고로 치며 화원을 천시하는 문인들의 오만함이 내심 역겨웠을 법도 한데, 김홍도는 개의치 않고 자신의 그림에 문인의 뜻을 담았다. 그가 마흔 살 이전에 주로 사용하던 자 사능(士能)’일정한 재산(恒産)이 없으면서도 한결같은 마음(恒心)을 갖는 것은 선비만이 가능하다.”라는 <맹자>의 한 구절에서 따온 것이다.

그러나 뭐니뭐니해도 우리에게 가장 익숙한 호는 단원(檀園)’이다. 40대에 그는 두 차례에 걸쳐 안기찰방과 연풍현감을 역임한다. 화원으로서는 파격적인 인사였다. 관리로서의 능력을 뚜렷이 검증할 길은 없다. 다만, 연풍현감 당시에는 중매를 일삼고 아랫관리들에게 노비와 가축을 상납케 한다는 내용의 상소 때문에 압송될 뻔 했다가, 정조의 특별사면으로 도화서로 복귀했다고 한다. 그의 나이 51세였다.

40대의 벼슬경험을 거치면서 김홍도는 단원이라는 자호를 사용하기 시작한다. ‘박달나무 정원이라는 뜻의 단원은 명나라 문인화가 이유방(李流芳)의 호를 본뜬 것이다. 이와 관련한 정황은 강세황의 <단원기>에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이유방은 문사로서 고상하고 밝았으며 그림이 전아했다고 한다. 하여 김홍도가 그의 사람됨을 흠모하여 자호를 단원이라 하고 자신에게 기문을 부탁했다는 것. “그의 솜씨가 옛사람을 따라 잡을 수 있는 것은 말할 것도 없거니와 그 풍채도 훤칠하여... 이유방 같은 사람에게 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이미 고원하여 그만 못할 것이 없다.” 기품이나 실력에서 자네가 그만 못할 게 뭔가, 화원이라고 기죽을 것 없네, 라는 격려의 말. 사우(師友)에 대한 진한 애정과 배려가 느껴진다.

문인의 뜻을 품은 화원 김홍도. 많은 문인들이 그의 재능을 아끼고 그의 기품을 흠모했지만, 그만큼 또 많은 문인들은 그의 재주를 속되다고 평가했다. 1800, 김홍도의 든든한 백그라운드였던 정조가 세상을 떠나자, 많은 정조의 남자들처럼 김홍도 역시 휘청했다. 예순의 나이에 차비대령화원으로 차정되어 젊은 화원들과 함께 시험을 치르던 김홍도의 소회가 어떠했을지.

그러나 김홍도는 자신의 필치를 잃지 않았다. 여느 전설 속 화가들처럼 세상을 원망하거나 술에 취해 울부짖지도 않았다. 여전히 단아하고 우아하게, 자신의 스타일을 다듬었다. 말년작 <추성부도(秋聲賦圖)>(1805)에는 구양수의 <추성부>가 전하는 정취와 함께 가을날의 스산함이 짙게 배어나온다. 그런가 하면 <기로세연계도(耆老世聯契 圖)>(1804)에는 김홍도 특유의 서사 가득한 풍속이 유머러스하게 펼쳐져 있다. 이용휴의 말처럼, 김홍도는 스스로의 긍지를 버리지 않았고, 누가 뭐라든 그림을 가볍게 여기지 않았다. 원하는 자에게는 흔쾌히 마음을 담아 그림을 그려주었지만, “자신의 마음과 손재주로써 교제의 예물이나 기방의 장식품 따위를 제공하기를 원하지 않았다.”(이용휴,<대우암기>) 힘이 닿는 한 그렇게 그림을 그리다가, 1805년에서 1806년 사이의 어느 날엔가 세상을 떠났다.

홍도(弘道), 그림의 도를 넓히다

김홍도 하면 대개 풍속화를 떠올리고, 많은 이들이 김홍도를 풍속전문화가정도로 취급한다. 하지만 이건 다분히 현대적 관점에서 18세기 문화사를 재구성한 결과다. 어떻게든 그 시기에서 민족적 자각의식을, 민중적 현실주의를 찾아내고자 했던 근대주의의 산물이다. 물론, 김홍도의 풍속화는 독보적이다. 하지만 그의 독보성은 그가 민중의 현실을 그렸다는 사실 자체가 아니라, 그의 그림이 갖는 다층적 유머와 파격적 구성, 펄떡거리는 현장감, 지나쳐버릴 수 있는 디테일에 현미경을 들이대는 그의 경이로운 시선에 있다. 이는 18세기에 연암, 이덕무, 박제가, 이옥 등이 보여준 새로운 글쓰기와도 공명한다. 역사의 딱딱한 지층으로부터 새로운 균열이 생기고 있었고, 김홍도는 그 힘을 유일무이한 스타일로 형상화한 것이다.

한 화가가 인물, 산수, 선불(仙佛), 화조 등 전장르에 두루 뛰어나기란 쉽지 않다. 김홍도에게 이 세계에 존재하는 모든 것은 그릴 만한 가치가 있었고, 그는 마음을 담아 그 가치를 표현해냈다. 홍도(弘道). 그렇다. 사람이 도를 넓히는 것이지 도가 사람을 넓히는 것이 아니다(人能弘道 非道弘人). 그가 낸 길은 무엇이었을까. 분명한 건, 그로 인해 우리가 만나는 세상의 길이 널찍해지고 풍요로워졌다는 사실이다. 예술의 , 그것으로도 충분하지 않은가.

채운(남산강학원 연구원)

정정 - 본지 1월 9일자 21면 ‘고전 인물로 다시 읽기’ 연재물 김홍도편에서 ‘검선도’를 실었으나, 이 작품은 전(傳) 김홍도임으로 사진을 교체했습니다.



2012-01-09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