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TSD 소방관 현황도 모르는 소방청… “형식적 설문으로 낙인찍기만 한다”

PTSD 소방관 현황도 모르는 소방청… “형식적 설문으로 낙인찍기만 한다”

고혜지 기자
고혜지 기자
입력 2021-08-16 22:20
수정 2021-08-17 12:1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소방관 정신 건강 관리 시스템

이미지 확대
“우리는 재난에 빠진 사람 구하는 법만 알지 내 마음의 재난은 어떤 상태인지 몰라요.”

현장 소방관들은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 상담과 관리 체계가 부실하다고 지적한다. 함께 출동한 동료를 잃고 PTSD가 발병한 A소방관도 그중 한 명이다. 그는 “떠올리기 싫은 기억에 ‘괜찮다´며 혼자 버티다 심각한 상태에 이르러서야 병원을 찾았다”고 말했다. 소방관들은 마음 관리의 상당 부분이 비전문가인 개인의 자의적 판단에 의존하는 데다 나약하다는 ‘낙인효과’, 인사상 불이익이 있다고 증언한다.

●“청구 과정 복잡해 사비로 치료”

소방청은 소방공무원복지법에 따라 ▲찾아가는 상담실 ▲스트레스 회복력 강화 프로그램 ▲마음 건강진료비 지원 등의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B소방관은 “소방청이 제공하는 힐링캠프는 일회성에 그치고, 연계 병원도 자택과 거리가 멀고 후 청구 과정이 복잡해 사비로 치료하고 있다”며 “환자처럼 보일까 봐 알리지 않으려고 했다”고 털어놨다.

정책의 지표가 되는 소방관 마음건강 통계 자체도 의구심이 적지 않다. 소방청은 지난해 전국의 응답 소방관 5만 2119명에 대한 설문조사에서 자살위험군이 2301명, PTSD위험군이 2666명인 것으로 파악했다. 소방청은 조사 결과에 대해 “전년도(2453명) 대비 자살위험군 규모가 줄었다”고 홍보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해당 조사의 신뢰도 자체에 의문을 표시한다. 2017년 동료 상담 프로그램을 시작한 박승균 경기남양주서 소방위는 “매년 반복되는 설문지에다 아픈 사람으로 찍힐까 봐 정확한 측정이 어렵다고 본다”고 지적했다. 경북 지역의 한 소방관은 “설문조사에 참여하라는 공문이 많이, 자주 내려온다”면서도 “조사 이후에도 정책 변화가 없어 왜 조사를 하는지 의문만 든다”고 말했다. 해마다 이뤄지지만 형식적인 조사라는 지적이다.

●소방관 트라우마 치유 위한 시설 없어

소방청 관계자는 “설문을 바탕으로 자살과 PTSD 위험군 규모를 파악하지만 실제로 PTSD 진단을 받은 소방관 수는 우리도 알지 못한다”며“소방관들이 자비로 진단·상담·치료를 하면 정신과 진료 이력을 알 수 없다”고 했다. 반면 현장에서는 PTSD 관련 공황·불안·강박장애나 우울증 치료 내역이 인사상 불이익으로 작용할까 봐 숨긴다는 목소리가 많다.

국내 소방관 트라우마 치유를 위한 시설은 현재까지 없다. 내년 3월 착공 예정인 국립소방병원이 정상적으로 예산 집행이 이뤄지는 걸 전제로 했을 때 2024년 말 개원한다. 소방관과 함께 위험직무 공무원으로 분류되는 경찰의 경우 관련 시설이 9곳, 해양경찰은 4곳, 군인은 직영 6곳과 민영 62곳에 이른다. 2017년 작성된 국내 위험직군 공무원의 10만명당 자살 인원 보고서에 따르면 소방관이 31.2명으로 경찰의 20명과 차이가 크다.

일본의 경우 소방관에 대한 재난 스트레스 전문기관이 존재하고 관련 상담·치료와 유족 지원 등을 전담하는 별도 기관이 있다. 미국도 주별로 소방관이 이용하는 심리상담사 리스트와 ‘소방관 정신건강 연대’ 사이트를 통한 각종 지원 정보가 제공된다.
2021-08-17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