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당층이 움직인다] <2> 세대별 시민 3인이 말하는 한국 정당정치
여론조사에서 30% 내외로 두텁게 포착되는 무당층은 흔히 ‘정치 무관심자’로 치부되지만, 이들 가운데 상당수는 ‘제삼자’의 시각에서 정치를 관망하고 있는 비판적 참여층이다. 특정 진영이나 이념에 고정적 선입견 없이 오로지 합리성으로만 판단하겠다는 것이다. 서울신문은 지지하는 정당 없이 무당층에 속해 있는 세대별 시민 3인에게 그들이 바라보는 한국 정당 정치를 물었다. 대학생 류연지(24)·직장인 김수현(31)·자영업자 박근호(45)씨는 일제히 “기존 정당으로는 희망이 없다”며 날카로운 비판을 쏟아냈다.류연지(이하 류) “내 뜻을 대변하는 정당이 없었다. 어디에도 투표하지 않았다.”
김수현(이하 김) “고민 끝에 더불어민주당에 표를 줬다.”
박근호(이하 박) “국민의힘에 투표했다.”
-정치적 성향은 어떤가.
김 “중도다.”
박 “보수지만 국민의힘이 표출하는 정당성과 색깔에 실망해 그 당을 지지하지는 않는다. 현존 정당 가운데는 진정 사람을 챙기는 정당이 하나도 없다고 생각한다.”
류 “정치는 한 가지 이념만으로 이뤄질 수 없다. 진보·보수 프레임에 구애받지 않는 게 진짜 정치다. 이념을 떠나 각기 주어진 현안마다 최선의 답을 찾는 정책을 펼쳐야 하는 것 아닌가. 단순히 한쪽 성향을 고를 수 없다.”
박 “여야 모두 국민의 현실과는 동떨어진 쇼 정치를 한다고 본다. 민주당은 실질적으로 잘살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게 아니라 이미지 정책, 감성법에 신경 쓴다. 4차 재난지원금 얘기도 나오지만, 국민으로선 당장 돈을 받는 게 중요한 게 아니라 일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주는 게 더 중요하다. 코로나19 탓도 한두 번이지 변명 말고 국정에 책임을 져야 한다. 국민의힘은 현재 이들이 추구하는 것이 무슨 색인지를 알 수가 없다. 정의당·국민의당 등은 특성 없이 거대 정당에 종속된 느낌이다. 그들이 무엇이 크게 다른지 모르겠다.”
김 “정당별 정책에서 큰 차이를 느끼지 못한다. 대선 때 여야 모두 상당수 비슷한 정책을 공약으로 내걸지 않았나. 그 때문에 개인적으론 정당의 도덕성을 중요하게 여겨 왔다. 그나마 현 대통령과 민주당의 도덕성을 높게 평가해 표를 줬는데, 최근 들어 그렇지 않은 사례를 기사로 접하며 결국 정치인은 다 비슷하다는 생각이 들어 정치 혐오가 생겨났다. 차라리 부동산 투기라면 인간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지점이 있다고 해도 최근 들어 불거진 정치인의 성범죄 사건들은 도저히 이해할 수 없다.”
류 “우리나라 정치인을 싫어하고 믿지 않는다. 선거운동 기간에는 국민을 위해 뛰겠다고 말하면서 정작 당선되면 국회 대신 골프장 출석하는 식의 행동들이 꼴 보기 싫다.”
-현존 정당들이 어떻게 바뀌어야 지지할 텐가.
김 “솔직히 지금 정치인들에 대해 기대 자체가 없다. 기본적으로 도덕적으로 흠 없는 정당이 됐으면 좋겠다는 바람이 있다. 일을 잘한다고 해서 도덕적 흠결을 덮어주는 문화는 없어야 한다.”
류 “정당의 가치를 논하기에 앞서 정당을 구성하는 정치인 개개인의 역량과 태도가 문제라고 본다. 끊임없이 정치인들의 문제가 터져나오지 않나. 정당을 구성하는 정치인들이 바뀌지 않는다면 정당에도 미래가 없다고 생각한다.”
박 “쇼 대신 현실적 문제에 답을 주는 정당이 필요하다. 또한 진짜 자유민주주의가 기본이 된 정당이 나와야 한다. 상황에 따라 내가 갑일 수도 상대가 갑일 수도 있지만 서로 자유롭게 자기 목소리를 낼 수 있는 환경이 조성돼야 한다.”
-새로운 정당이 필요하다고 보나.
김 “기존 정당을 고쳐 쓰는 게 낫다고 본다. 새 정당이 만들어져도 어차피 기존 정치인들이 간판만 바꾸는 거 아니겠나. 다만 내부에 강한 도덕적 잣대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박 “기성 정당을 고치든, 새 정당을 만들든 그 자체가 논점이어서는 안 된다. 실제로 지금껏 많은 정당들이 사람과 가치는 그대로인 채 간판만 바꿔오지 않았나. 그것 자체가 이미지 정치라 생각한다. 단순히 간판을 바꾸는 데서 그칠 게 아니라 그 정당이 추구할 가치를 뚜렷하게 설정하고 국민에게 현실적 변화를 가져올 심도 있는 고민을 하는 정당이 필요하다.”
이하영 기자 hiyoung@seoul.co.kr
신형철 기자 hsdori@seoul.co.kr
2021-01-13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