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리터리 인사이드] 해군이 아름답다고 느낄 때

[밀리터리 인사이드] 해군이 아름답다고 느낄 때

정현용 기자
정현용 기자
입력 2021-01-31 10:38
수정 2021-05-20 14:5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비바람과 파도를 헤치며 훈련받는 해군 대원들

입항 과정에 눈 맞으며 ‘눈사람’ 된 대원들
칼바람 아랑곳하지 않고 바다 살피는 견시병

온몸으로 쏟아져 나오는 물 막으며 침수훈련
대형수송함 독도함에서 나온 해병대 상륙돌격장갑차들이 해안을 향해 돌격하는 모습. 해군 제공
대형수송함 독도함에서 나온 해병대 상륙돌격장갑차들이 해안을 향해 돌격하는 모습. 해군 제공
1950년 9월 15일 인천상륙작전 전승일을 기념해 2008년부터 해군은 매년 상륙작전 재연행사를 열었습니다. 행사에는 늘 1만 4500t급 독도함이 등장해 상륙돌격장갑차를 쏟아내는 장관을 연출했습니다.

독도함은 전차 6대와 상륙돌격장갑차 7대, 트럭 10대, 야포 3문, 병력 720명을 한꺼번에 수송할 수 있는 대형수송함입니다. 그러다 2016년을 끝으로 행사가 잠시 중단됐고, 지난해부터는 5년마다 행사를 여는 것으로 계획이 바뀌었습니다. 그렇지만 지난해에도 아쉽게 코로나19 영향으로 상륙작전을 재연하지 못했습니다. 코로나19를 완전히 극복해 장관을 다시 볼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칼바람을 뚫고 쌍안경을 들고 바다를 살피는 견시병. 해군 제공
칼바람을 뚫고 쌍안경을 들고 바다를 살피는 견시병. 해군 제공
군함 위에서의 업무는 작은 실수도 용납되지 않습니다. 특히 안개, 비, 야간 운항 때 레이더로 포착되지 않는 물체를 맨눈으로 확인하는 ‘견시’는 매우 중요한 임무 중 하나입니다. 직접 쌍안경을 들고 물체를 확인해야 하며 자이로스코프 등으로 방위각을 측정하기도 합니다. 견시병은 충돌 위험이 완전히 사라질 때까지 실시간으로 정보를 당직사관에게 전달합니다. 춥다고, 덥다고, 피곤하다고 피할 수 없는 일이기에 국민들을 대신해 감사를 전합니다.

군함 입출항 과정에도 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대원들의 긴장감이 높아집니다. 함정 정박에 사용하는 굵은 ‘홋줄’은 여러명의 병사들이 한꺼번에 달려들어야 겨우 움직일 수 있을 만큼 무겁습니다.
홋줄작업을 하는 해군 병사들. 해군 제공
홋줄작업을 하는 해군 병사들. 해군 제공
배가 떠내려가지 않도록 하는 홋줄은 오로지 수작업으로 걸어야 하기 때문에 힘든 업무 중 하나입니다. 입출항 때 눈이 오면 갑판 근무 장병들은 그대로 ‘눈사람’이 되기도 합니다.
눈이 내리는 가운데 구축함 정박 작업을 하는 대원들. 해군 제공
눈이 내리는 가운데 구축함 정박 작업을 하는 대원들. 해군 제공
해군 특수전전단(UDT/SEAL)은 1955년 창설된 해군 최정예 부대로 특수작전, 수중파괴, 폭발물 처리, 해상대태러 임무 등을 수행합니다. 부대 표어는 ‘불가능은 없다’입니다. 24주간의 훈련 기간 중 132시간, 엿새간 잠 한숨 자지 않고 훈련받는 ‘지옥주 훈련’을 통과해야 대원이 될 수 있습니다. 무인도에서 음식물 공급 없이 버티는 생존훈련도 있습니다.
한손으로 팔굽혀 펴기를 하는 UDT 대원들. 해군 제공
한손으로 팔굽혀 펴기를 하는 UDT 대원들. 해군 제공
이들 대원 1명의 전투력은 일반 병사 10명의 전투력과 맞먹는다고 합니다. 2011년 소말리아 해적에게 납치된 삼호 주얼리호 선원들을 단 1명의 사망자 없이 성공적으로 구출한 ‘아덴만의 여명작전’을 이끌었습니다.
바다속에서 몸을 띄운 상태로 구호를 외치는 SSU 대원들. 해군 제공
바다속에서 몸을 띄운 상태로 구호를 외치는 SSU 대원들. 해군 제공
1950년 창설된 해난구조대(SSU)도 혹독한 훈련으로 유명합니다. 각종 해난사고에서 인명을 구조하는 일이 모두 이들에게 주어지기 때문에 어떤 상황에서도 임무를 수행한다는 각오를 다집니다. 겨울에는 바다 속에서 혹한기 훈련을 합니다. 이들은 2019년 헝가리 부다페스트의 유람선 침몰사고 현장에 파견되기도 했습니다.
2함대 해상기동사격훈련에서 불을 뿜는 함정들. 해군 제공
2함대 해상기동사격훈련에서 불을 뿜는 함정들. 해군 제공
해군 실사격 훈련은 가상의 적을 설정해 정밀타격하는 방식으로 진행합니다. 일렬로 줄지어 기동하는 함정의 함포와 미사일이 가상의 적을 향해 불을 뿜는 모습은 장관을 이룹니다.
광개토대왕함급 구축함에서 불을 뿜는 127㎜ 함포. 해군 제공
광개토대왕함급 구축함에서 불을 뿜는 127㎜ 함포. 해군 제공
사진은 차례로 2함대 해상기동훈련에 참가한 호위함 등이 함포사격을 하는 모습과 광개토대왕함급 구축함에서 127㎜ 함포를 발사하는 모습, 한국 최초 이지스함인 세종대왕함이 SM2 대공미사일을 발사하는 모습.
세종대왕함에서 SM2 대공미사일을 발사하는 모습. 해군 제공
세종대왕함에서 SM2 대공미사일을 발사하는 모습. 해군 제공
대공미사일을 발사하는 함정들. 해군 제공
대공미사일을 발사하는 함정들. 해군 제공
과거 연안 방어를 책임졌던 130t급 ‘참수리급 고속정’은 개방형 함교여서 적의 공격에 취약했습니다. 사진처럼 정장이 파도와 비바람을 견뎌야 하는 일도 있었습니다. 2002년 6월 참수리급 고속정 357호정 정장(대위)이었던 故 윤영하 소령은 이런 구조 때문에 적의 집중적인 사격을 받아 안타깝게 순직했습니다.
함교가 개방된 참수리급 고속정에서 파도를 견디는 정장과 대원들. 해군 제공
함교가 개방된 참수리급 고속정에서 파도를 견디는 정장과 대원들. 해군 제공
이에 따라 해군은 참수리급 고족정을 230t급 ‘검독수리급 신형 고속정’(PKMR)으로 전면 교체해 공격력과 방어력을 대폭 강화했습니다. 검독수리급 고속정은 76㎜ 함포와 130㎜ 유도로켓을 장착해 원거리에서 적 함정을 타격할 수 있습니다. 또 함교를 함 구조물 내부로 넣어 정장이 비바람은 물론 적의 표적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외관 구조를 대폭 개선했습니다.
새로 도입된 윤영하함급 유도탄고속함이 76㎜ 함포와 40㎜ 함포를 발사하는 모습. 해군 제공
새로 도입된 윤영하함급 유도탄고속함이 76㎜ 함포와 40㎜ 함포를 발사하는 모습. 해군 제공
여기에 윤 소령의 이름을 딴 400t ‘윤영하함급 유도탄고속함’도 잇따라 도입했습니다. 윤영하함급 유도탄고속함은 레이더에 잘 탐지되지 않는 스텔스 선체에 76㎜ 함포와 대함유도탄을 장착했습니다. ‘프로펠러’로 기동하던 함정의 추진 방식도 ‘워터제트’로 바꿔 기동력을 높였습니다. 새로 건조된 유도탄고속함에는 윤 소령을 포함한 6용사의 이름이 차례로 붙여졌습니다.
소화방수훈련에 참가한 해군 대원들이 온 몸으로 쏟아져 나오는 물을 막고 있다. 해군 제공
소화방수훈련에 참가한 해군 대원들이 온 몸으로 쏟아져 나오는 물을 막고 있다. 해군 제공
해군은 함정의 화재와 침수에 늘 대비해야 합니다. 그래서 정기적으로 전 대원을 대상으로 ‘소화방수훈련’을 진행합니다. 실제 함정 침수와 동일한 조건으로 훈련하기 때문에 말 그대로 ‘온 몸으로’ 물을 막아냅니다.
광개토대왕함 함교에서 훈련기동을 지휘하는 함장과 장교들. 해군 제공
광개토대왕함 함교에서 훈련기동을 지휘하는 함장과 장교들. 해군 제공
함교에서 지휘하는 장교, ‘전투배치‘ 명령에 총을 들고 달리는 병사 모두 자랑스러운 우리 해군입니다. 차가운 바닷바람을 견디며 오늘도 나라를 지키는 모든 이들에게 경의를 표합니다.
‘전투배치’ 명령에 총을 수령해 달려가는 병사들. 해군 제공
‘전투배치’ 명령에 총을 수령해 달려가는 병사들. 해군 제공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