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태순 선임기자의 5060 리포트] 지역사회에서 ‘제2의 인생’

[임태순 선임기자의 5060 리포트] 지역사회에서 ‘제2의 인생’

입력 2014-03-21 00:00
수정 2014-03-21 04:0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동경대 → 서울대생’ 되지 말고 동네 친구가 돼라

일본 시니어들은 직장을 그만두면 지역사회의 일원이 된다. 반면 우리나라는 ‘동경대생’이 되고 심하면 ‘서울대생’이 된다. 일본 퇴직자들이 직장에서 지역으로 관심을 돌려 제2의 인생을 성공적으로 살아간다면 한국은 여전히 직장문화에 중독돼 지역으로의 귀환(歸還)이 원활하지 못하다.

이미지 확대
도시 공동체의 모범인 서울 성미산 마을 주민들이 줄다리기를 하며 화합을 다지고 있다.  성미산 마을 제공
도시 공동체의 모범인 서울 성미산 마을 주민들이 줄다리기를 하며 화합을 다지고 있다.
성미산 마을 제공


이미지 확대
어머니들이 어린이들과 작은나무 카페에서 회의를 하고 있는 모습.  성미산 마을 제공
어머니들이 어린이들과 작은나무 카페에서 회의를 하고 있는 모습.
성미산 마을 제공


이미지 확대
마을극단 단원들이 연극공연을 하고 있다. 성미산 마을 제공
마을극단 단원들이 연극공연을 하고 있다.
성미산 마을 제공
최근 시니어 비즈니스 전문기업 시니어파트너즈와 교보생명이 공동으로 펴낸 ‘대한민국 시니어 리포트 2014’에 따르면 일본 은퇴 남성들에겐 ‘지역 데뷔’가 숙제라고 한다. 이는 일본의 젊은 엄마들이 자녀들이 유치원에 갈 시기가 되면 동네 공원에 나가 또래 엄마들과 사귀며 정보교환을 하는 ‘공원 데뷔’의 남성용 버전으로, 직장을 그만둔 50~60대들이 주변의 이웃들에게 자신을 소개하면서 친하게 지내는 것을 말한다. 동네마다 은퇴 남성들의 지역 데뷔를 돕는 단체가 왕성하게 활동하고 있을 정도로 일본에선 보편적인 문화로 정착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시니어들은 은퇴 이후의 삶에 서툴다. 일부 여유계층은 오피스텔을 얻어 여전히 ‘출근’을 계속하고 있을 정도다. 그래서 퇴직하면 ‘하바드생’에서 ‘예일대생’, ‘동경대생’을 거쳐 ‘서울대생’이 된다는 말이 나올 정도다. 회사를 그만둔 지 얼마 되지 않았을 때는 거래처 관계자, 친구, 동창 등 만나자는 사람이 많아 할 일 없이 바쁜 하바드생이 됐다 조금 지나면 바쁜 일이 없는데도 일찍 일어나는 예일대생이 된다. 다음에는 동네를 배회하며 경치를 구경하는 동경대생이 됐다가 전화를 걸어주지 않는 후배들에게 서운해하며 울적해지는 서울대생이 된다. 이들 중 일부는 ‘은퇴증후군’ 등 정신질환에 시달리기도 한다.

퇴직자들은 대부분의 시간을 집에서 보내게 된다. 주위와 관계를 형성하는 출발점은 이웃이고 동네와 마을이다. 그러나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우리들은 이웃을 잊고 일터 중심으로 살아왔다. 한국의 베이비 부머들이 지역 중심의 공동체 생활에 연착륙하지 못하는 것은 오랜 직장생활로 인해 이웃과 소통하는 기능이 퇴화했기 때문이다. 퇴근한 뒤에도 회식 등으로 사무실 주변에서 시간을 보내고 집은 잠자는 공간 이상의 의미를 갖지 못해 왔다. 아파트 중심의 단절된 주거문화도 지역과의 소통을 방해한다. 이러다 보니 삶의 무게중심이 회사 등 조직사회에서 집과 이웃 등 지역으로 옮겨졌는데도 여전히 직장문화의 타성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직장생활로 맺어진 사회적 관계망은 퇴직과 함께 대부분 종료되는 게 일반적이다. 서로 마음을 터놓고 만나는 게 아니라 업무적 필요에 따라 관계가 형성되기 때문이다. 서울대 송호근 교수는 베이비 부머의 노후를 다룬 책 ‘그들은 소리내 울지 않는다’에서 “개인의 사회관계망은 크게 가족 등 친인척 관계망, 친구·동료 등 친근 관계망, 직장생활로 맺어진 공적 관계망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 가운데 가장 큰 것이 공적 관계망”이라면서 “그러나 공적 관계망은 퇴직하면 급속히 붕괴돼 거의 무용지물이 된다”고 말했다. 시니어파트너즈와 교보생명이 1000명을 대상으로 현재 연락하는 친구수를 조사해 봐도 20대는 16명으로 많았으나 60대는 11명에 불과해 나이가 많을수록 관계망은 줄어들었다. 여기에 아내, 자식 등 가족들로부터 소외받으면 시니어들은 더욱 외로워진다.

퇴직자들은 이제 지역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지역 주민들과 교분을 가져 관계망을 형성하면 소소한 즐거움을 맛볼 수 있다. 시니어들이 지역사회에 손쉽게 편입될 수 있는 방법은 종교와 동호회 활동이다. 동네 교회와 성당은 비슷한 연배의 교인들을 그룹으로 묶어 교리공부를 시키면서 서로 안면을 익히게 한다. 처음에는 서먹서먹하지만 자주 만나게 되면 격의 없는 사이가 된다. 선호도는 교회보다는 성당이 높다. 성당이 교회에 비해 술, 담배 등에 대해 관대한 데다 구속력이 덜하기 때문이다. 테니스, 배드민턴, 조기축구회 등 동호회 모임도 지역과의 좋은 연결고리가 된다.

이웃들과 관계를 형성하는 데는 남성보다 여성이 훨씬 뛰어나다. 아줌마, 할머니들은 특유의 친화력으로 동네 주민들과 수다를 떨며 친하게 지낸다. 강남시니어플라자 커피동아리 모임 회장을 맡고 있는 황은자(71)씨는 길을 가다 동네 주민을 만나면 형님 커피 한 잔하고 가라며 집으로 불러들인다. 황씨는 “커피를 마시며 이야기를 나누다 보면 상대편에 대해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되고 자연스럽게 소통이 된다”면서 “다음에 만날 때는 훨씬 더 가까워진다”고 말했다. 그러나 남자들은 쉬 마음을 열어놓지 못하고 간단한 수인사를 나누는 것에서 그친다. 상하관계의 조직문화에 익숙해 일상적인 관계 맺음에는 서투르기 때문이다.

송호근 교수는 같은 책에서 “일본의 퇴직자들은 마을에서 필요한 공공업무를 주로 맡는다”면서 “치안 유지, 복지 서비스 전달, 고령자와 장애인 돌보기, 환자 관련 서비스, 기타 소소한 공적 업무를 맡아 적으나마 소득도 올리고 사회에 공헌한다”고 말했다.

퇴직하면 동네 경치 구경하지 말고 동네에 녹아들 준비를 해야 한다는 말이다. 주민자치센터나 사회단체도 퇴직자들이 자신이 가진 역량을 공동체를 위해 사용할 수 있도록 분위기를 조성해 나가야 한다.

stslim@seoul.co.kr
2014-03-21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