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화할 때도 감정 없던 아이, 문화예술치유로 달라졌어요

대화할 때도 감정 없던 아이, 문화예술치유로 달라졌어요

이성원 기자
입력 2021-05-09 21:44
수정 2021-05-10 01:2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복합외상 증상 아동 프로그램 참여 후
타인 불신 20.8%·수치심 19.7% 줄어

이미지 확대
아동 학대 피해자들이 2019년 8월 백석예술대에서 한국폭력학대예방협회 주최로 열린 ‘폭력학대 없는 세상으로’ 희망 콘서트에서 자신들이 준비한 뮤지컬을 선보이고 있다. 한국폭력학대예방협회 제공
아동 학대 피해자들이 2019년 8월 백석예술대에서 한국폭력학대예방협회 주최로 열린 ‘폭력학대 없는 세상으로’ 희망 콘서트에서 자신들이 준비한 뮤지컬을 선보이고 있다.
한국폭력학대예방협회 제공
박다영(가명)양은 타인과 대화할 때 감정을 섞지 않았다. 멍한 느낌마저 들었다. 오랜 기간 보호자의 폭력에 노출된 아이에게서 나타나는 증상이다. 친족 성폭력을 당한 박양은 트라우마가 너무 심해 지능도 낮아졌다. 박양은 치료를 위해 문화예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했다. 예술치료 과정에서 무대에 서야 했는데, 박양은 뮤지컬을 택했고, 소질을 보여 주인공 물망에도 올랐다. 대사가 너무 길어 절대 외울 수 없을 거라는 주변의 시선에도 박양은 수천 번의 연습을 통해 결국 해냈다. 아버지의 폭력에 방관만 했던 엄마도 용서했다. 치유 과정에서 엄마를 미워하는 감정까지 녹여낸 것이다. 박양은 뮤지컬 무대에 오르고 싶어 관련 대학으로 진학했다.

학대 피해 아동이 우리 사회에서 어울려 살아가려면 정신과적 치료와 심리치료는 필수다. 특히 오랜 시간 부모의 반복적 학대로 복합외상 증상을 보이는 아동에 대해선 신속한 치료가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강조한다.
이미지 확대
9일 한국폭력학대예방협회(KAVA·카바)에 따르면 2020년 3~12월 경북 ‘복합외상 문화예술치유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대 피해 아동 60명의 복합외상 후 스트레스는 눈에 띄게 좋아졌다. 학대를 당한 아동은 만성적 수치심과 죄책감 등에 시달리는데 프로그램 시행 후 죄책감과 후회는 20.7% 감소했다. 아울러 수치심은 19.7%, 타인에 대한 불신은 20.8% 줄었다. 이에 반해 신경인지검사 결과 고위 인지기능은 29.7% 향상됐다.

폭력학대예방협회는 2017년부터 친족성폭력쉼터와 방임 학대 피해자가 모인 양육센터에서 트라우마가 심한 아동을 대상으로 문화예술치유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트라우마 검사 ▲예술치료 ▲예술교육(댄스, 난타, 뮤지컬 등) ▲공연 ▲사후 진단 과정을 거치는데 약 10개월 걸린다. 피해 사실을 말하는 것 자체가 스트레스인 아동을 대상으로 몸으로 표현하고 무대에서 성취감을 느끼게 해 치료 효과를 유도한다.

이희엽 폭력학대예방협회 부회장은 “피해 아동은 다른 사람으로부터 인정받는 것에 취약한데, ‘나 같은 사람이’ 무대 의상도 입고 큰 무대에서 박수를 받는 것만으로도 치료 효과가 상당하다”며 “다른 아동과 함께 무대를 만드는 과정에서 나만 슬픈 게 아니라 너도 슬프구나를 느끼면서 협동심도 기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성원 기자 lsw1469@seoul.co.kr

2021-05-10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