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학습’을 위한 전문가 제언
대기업 30대·中企 50대 비중 최다
조직 내 세대 연속성 무너진 양상
2030의 협조자로서 소통 늘려야
통계청 공식통계를 보면 대기업 인력의 주축은 30대, 중소기업의 주축은 50대다. 가장 최근 통계인 2020년의 숫자를 보면 대기업 종사자 398만명 중 30대가 119만명(30.0%)으로 가장 많다. 이어 40대 109만명(27.3%), 50대 이상(24.4%), 20대 이하(18.3%) 순이다. 중소기업의 경우엔 50대(24.7%) 비중이 제일 크고 60대 이상(18.4%)까지 더하면 50대 이상(43.1%)은 5명 중 2명꼴로 늘어난다. 이어 40대(24.1%), 30대(19.2%), 20대 이하(13.6%) 순이다.역으로 이 같은 연령분포가 대세를 이루면서 운 좋게 조직에 남은 40대, 50대 중년은 옛날처럼 오롯한 관리직이 되지 못하고 실무 부담에 치여 허덕인다. 청년도, 중년도 힘든 세태는 조직 내 세대의 연속성이 무너진 결과 드러난 양상인 셈이다.
고령화가 심화될수록 조직 내 세대 편중이 가속화될 것이란 전망 속에서 이동우 고려대 고령사회연구센터장은 ‘세대’가 아니라 ‘시대’에 주목하기를 권했다. 이 센터장은 “지금의 중년이 성장한 1970~1980년대는 대량생산·대량소비 시대였고 이들이 사회에 본격 진출한 1990년대 이후로는 신자유주의가 본격화됐다”면서 “이런 흐름 속에 2000년이 넘어가면서 전 세계가 ‘개인주의 심화’라는 현상을 공통적으로 겪었다”고 진단했다.
그는 “1992년에 나온 서태지의 ‘난 알아요’처럼 전주가 40초가 넘는 노래가 요즘에도 가능할지 생각해 보라”고 물은 뒤 개인주의가 만연할수록 사람들이 ‘미래에 발생할 일’보다 ‘현재의 만족’을 추구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2000년대 이후 시대의 변화가 당시 청년인 MZ세대에게서 두드러졌을 뿐 전 세대가 새로운 시대와 무관치 않았다”면서 “그러니 중년이 꼰대라는 낙인에서 벗어나고 싶다면 새로운 시대에 몰입해 시대를 살 기술을 빠르게 배워야 한다”고 제안했다.
단국대 심리치료학과 임명호 교수도 중년에게 ‘시대 학습’을 권했다. 임 교수는 “지금의 40대 역시 디지털에 익숙한 편이지만 모바일보다는 PC에,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보다는 싸이월드에 익숙해 이 세대와 M세대 사이 경계가 지어진다”면서 “그러니까 중년들은 2030세대와 경쟁자가 아닌 협조자가 되겠다는 마음으로 소통을 늘려 가야 한다”고 권유했다. 한편으로 ‘낀 세대’로서의 불안감을 해소할 방법으로 임 교수는 “지지해 줄 친구들이나 가족과의 소통을 늘려 도움을 받아야 한다”며 중년 동년배들끼리의 교류 확대를 응원했다.
2022-01-05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