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반도체는 어떤 회사
발광다이오드(LED) 관련 특허수 1만여건.서울반도체를 정의하는 건 압도적인 LED 관련 특허수다. 이정훈 서울반도체 대표는 초기부터 “자체 기술로 넘기 힘든 특허 장벽을 구축하자”고 거듭 강조해 왔다. 기술 개발 시작 단계부터 원천기술 확보를 염두에 둬야 한다는 주문이다.
서울반도체는 1987년 3월 미국계 반도체 제조사 ‘페어차일드’ 출신 엔지니어들이 세운 회사다. 1992년 이 대표가 서울반도체를 인수했고 2002년 1월 코스닥에 상장했다.
초기 가전제품에 들어가는 동작표시등을 주로 생산해 왔던 서울반도체는 디스플레이 광원용 LED에 손을 대더니 2006년 컨버터(교류를 직류로 바꿔주는 부품) 없이도 교류에서 구동 가능한 LED ‘아크리치’ 양산에 성공했다. 세계 최초였다.
1991년 10억원이던 매출액은 15년 만인 2006년 1838억원을 돌파했다. 2007년 말에는 매출이 2500억원을 넘었고, 지난해 대기업 계열사가 아닌 LED 국내 기업 중에는 최초로 매출 1조원을 기록했다.
서울반도체는 직원수 980명, 서울바이오시스, 광명반도체유한공사 등 계열사 13개를 거느린 중견 기업으로 성장했다. LED 글로벌 시장 점유율은 5.3%에 달한다. 독일 오스람, 네덜란드 필립스와 특허 공유 계약을 맺은 유일한 국내 기업이기도 하다.
하지만 위기가 없었던 건 아니다. 그때마다 발휘됐던 건 이 대표의 뚝심이었다. 2006년 서울반도체는 일본 니치아화학공업과의 소송전에 휘말리는데, 이 대표는 세계 LED 1위 기업 니치아화학공업과의 전면전을 선포한다.
당시 니치아는 서울반도체가 특허를 침해했다고 주장했고, 고객사들은 소송 결과를 보고 주문하겠다며 돌아섰다. 모두가 만류했다. 라이선스비를 주고 출혈을 피하라는 조언이었다. 하지만 이 대표는 그동안 쌓아왔던 특허로 정면돌파를 시도했다. 3년간의 공방 끝에, 결과는 ‘상호 특허 사용’. 골리앗과 다윗의 싸움에서 사실상 다윗이었던 이 대표가 승리한 셈이다.
2011년 LED TV 공급 과잉으로 LED 시장에 정체기가 왔을 때도 이 대표는 주력 제품을 디스플레이 소재에서 조명으로 전환해 멈출 줄 모르는 성장세를 이룩했다.
다만 올해 2분기 원화 강세 등의 영향으로 실적이 주춤했다. 1분기 229억원의 영업이익은 130억원으로 반 토막 났다. 이 대표의 지분가치도 지난 3월 2일 기준 4480억원에서 2252억원으로 뚝 떨어졌다. 하지만 업계는 1만여건의 특허가 있는 서울반도체의 경쟁력이 LED 조명 시장에서 또 다른 반전을 이뤄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2014-10-27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