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계 인맥 대해부 (1부) 신흥기업 <8> 서울반도체] 李 대표·나카무라, 14년전 日 세미나서 첫 만남… 5년째 기술고문 ‘인연’

[재계 인맥 대해부 (1부) 신흥기업 <8> 서울반도체] 李 대표·나카무라, 14년전 日 세미나서 첫 만남… 5년째 기술고문 ‘인연’

입력 2014-10-27 00:00
수정 2014-10-27 04:1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노벨물리학상 나카무라 슈지와 관계는

서울반도체는 최근 노벨물리학상을 공동 수상한 나카무라 슈지(60) 미국 샌타바버라 캘리포니아주립대(UCSB) 교수와의 인연으로 화제가 됐다. 나카무라 슈지는 2010년 3월부터 서울반도체의 기술 고문으로 활약해왔다.

이정훈(왼쪽) 서울반도체 대표가 2010년 3월 회사 고문으로 영입한 나카무라 슈지 샌타바버라 캘리포니아주립대 교수와 악수하고 있다.  서울반도체 제공
이정훈(왼쪽) 서울반도체 대표가 2010년 3월 회사 고문으로 영입한 나카무라 슈지 샌타바버라 캘리포니아주립대 교수와 악수하고 있다.
서울반도체 제공




이미지 확대


이정훈 대표와 나카무라의 인연은 14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틈틈이 해외 시장을 준비하고 있던 이 대표는 2010년 초 일본에서 열린 한 발광다이오드(LED) 세미나에서 나카무라 고문을 처음 만났다. 나카무라는 1993년 세계 최초로 청색 LED를 발명, 일본의 작은 소기업이었던 니치아화학을 연간 10억엔 매출의 강소 기업으로 키운 LED계의 스타였다.

하지만 당시 니치아화학은 고작 2만엔의 포상금과 과장 승진으로 그의 특허 발명권을 회사에 귀속시켰다. 두 사람의 만남은 나카무라가 회사에 사표를 던지고 UCSB행을 타진하고 있던 때였다. 짧은 만남이었지만 두 사람은 서로 LED에 대한 비전과 열정을 확인했다. 이 대표가 세미나 직후 서울 금천구 가산동에 있는 서울반도체 공장에 그를 초대하면서 끈끈한 인연이 이어졌다.

나카무라는 “마음껏 연구할 수 있는 곳은 대기업이 아닌 중소기업”이라는 신조를 지녔다. 작은 신생기업으로 LED업계의 새 바람을 몰고 온 서울반도체의 비전과 이 대표의 열정이 나카무라의 마음을 움직인 셈이다.

이듬해인 2001년 나카무라가 니치아화학공업과 특허 소송전을 벌일 때도 이 대표는 그를 물심양면으로 도왔던 것으로 알려졌다. 청색 LED에 대한 특허권 일부를 양도하거나 발명 대가로 20억엔을 지급하라는 게 나카무라 소송의 핵심이었다. 재판은 4년간의 지리한 공방 끝에 회사가 8억 4000만엔을 지급하는 것으로 결론이 났다.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두 사람의 만남은 우정보다 존경의 관계로 일컬어진다고 한다. 특히 이 대표는 나카무라를 위대한 학자이자 회사 기술 고문으로서 극진히 예우한다. 이 대표는 틈만 나면 회사 직원들에게 “나카무라 교수의 연구에 대한 열정을 배우라”고 주문한다. 나카무라의 UCSB 재료물성학 연구실인 SSLEEC에 뛰어난 연구원들을 보내 공부를 시키는가 하면 일정 금액의 후원금을 매년 지원하고 있다.

이에 보답하듯 나카무라는 1년에 네 차례 서울반도체와 서울 바이오시스를 찾아 연구 고문으로 공동 연구를 돕고 있다. 그는 이번 노벨상 공동 수상이 결정된 직후 경기 안산 서울반도체를 찾아 이 대표를 만나는 등 LED 개척의 동업자이자 오랜 동료인 이 대표와의 우정을 과시했다.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2014-10-27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