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한 100세를 위하여] (2부) 일하는 노년을 꿈꾸다 ④ 은퇴 후 인생 2막 3인의 조언

[행복한 100세를 위하여] (2부) 일하는 노년을 꿈꾸다 ④ 은퇴 후 인생 2막 3인의 조언

입력 2013-05-27 00:00
수정 2013-05-27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은퇴 시기 미리 고민해 준비… 좋아하는 일 찾고 경험 살려라”

영국의 사회학자 피터 라스렛은 사람의 인생을 1기부터 4기까지로 나눴다. 1기(0~25세)는 교육의 시기, 2기(25~60세)는 가정과 직장 의무의 시기, 3기(60~90세·은퇴 후 노년기)는 자기 성취의 시기, 4기(90세 이후 임종까지)는 타인의 도움을 받는 시기라고 규정했다. 이에 따르면 은퇴자들은 3기를 살고 있다. 제2의 직업을 찾고 남은 인생을 더 보람 있게 살아야 하는 시기다. 하지만 일상에 쫓기는 대다수 사람들은 눈앞에 닥친 은퇴에 막막할 수밖에 없다. 그런 가운데서 은퇴로 새 삶을 시작한 사람들이 있다. 그들을 만나보자.

“젊었을 때는 직장일도 했는데 아이 3명 낳고 키우느라 그만둘 수밖에 없었죠. 이제 아이들도 자라고 남은 인생을 어떻게 준비해야 할지 고민하다가 뭐라도 배우자는 생각에 나오게 됐어요.”

지난 8일 경기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의 한 오피스텔. 배경령(53·여)씨는 이곳 ‘아름다운 인생학교’에서 매주 사진 수업을 듣는다. 배씨와 함께 수업을 듣던 김현(61·여)씨도 열혈 수강생이다. 김씨는 “노후가 길어지면서 뭘 하고 살지 고민이 늘고 삶이 무료해진다”면서 “학교에서 또래와 함께 고민을 나누고 노후를 위한 다양한 공부도 할 수 있어 좋다”고 말했다.

이곳의 설립자이자 교장인 백만기(62)씨는 은퇴 이후의 생을 어떻게 디자인할지 고민하는 사람들의 롤모델이다. 백씨는 금융회사 임원을 지내다 정년을 몇년 앞둔 53세 때 사표를 쓰고 나왔다. 그후 지역방송국인 분당 FM방송에서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국립암센터에서 6개월간 호스피스 교육을 받기도 했다. 은퇴 이후의 활동과 금융권에서 쌓은 경험 등을 바탕으로 블로그 ‘백만기의 아름다운 은퇴연구소’를 운영해 파워 블로거로 이름을 날리다 올해부터 은퇴자들의 인생 2막을 설계하기 위한 공간인 ‘아름다운 인생학교’를 열었다.

“마흔 살이 됐을 때 딱 쉰 살까지만 일하고 회사를 그만둘 생각이었어요. 그 덕에 10년이란 긴 준비기간을 확보했지요.” 그 기간 동안 백씨는 그림, 커피 등 다양한 공부를 했다. 그는 수입을 위해 무조건 창업에 나선다든지 반드시 어딘가에 소속돼야 한다는 생각을 버리라고 조언했다. 특히 남의 말만 듣고 시작한 생계형 창업은 대부분 실패한다고 했다. “언제 은퇴할 것인지, 내가 어떤 일을 좋아하는지, 그것을 위해 뭘 배울지를 미리 고민해야 합니다.”

‘맥아더스쿨’의 교장 정은상(59)씨도 은퇴 이후 어딘가에 다시 소속돼 월급을 받아야 한다는 강박관념을 버리라고 조언했다. 1999년 직장을 그만둔 정씨는 2년 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를 통해 다양한 홍보를 할 수 있도록 돕는 맥아더스쿨을 세웠다. ‘5060세대를 위한 소셜비즈 코치 멘토링 프로젝트’란 알쏭달쏭한 말이 맥아더스쿨의 지향점이다. “처음부터 맥아더스쿨 같은 것을 만들려고 했던 것이 아니었어요. 흥미 있는 일을 찾아 배우다 보니 그게 새 직업으로 연결된 것일뿐이지요.”

정씨는 “혼자서 SNS를 배우다가 한두 명에게 이걸 통해 홍보하는 법을 알려 줬더니 점점 입소문을 탔다”면서 “현재 80여명이 맥아더스쿨을 통해 SNS 홍보 방식을 배우면서 점점 (사업이) 확장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직장에 다닐 때 은퇴 이후 삶에 대해 미리 준비하진 못했다고 했다. “상당수의 직장인들이 막상 은퇴하면 당장 뭘 해야 할지 당황할 수 있는데 은퇴 후 1년은 스스로의 거품을 빼는 시기입니다. 이때 너무 욕심 부리지 말고 이것저것 공부하면서 자신이 하고 싶은 일, 좋아하는 일이 무엇인지 다양한 경험을 통해 찾는 게 중요합니다.”

정종백(60)씨는 KT에서 퇴직한 뒤 1년 교육기간을 포함해 4년째 숲 생태해설가로 활동 중이다. 그는 “만일 이 직업이 돈을 많이 버는 일이라면, 젊은이에게 치여서 우리에게까지 일할 기회가 돌아오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그는 자신의 두 번째 직업에 대해 좋은 점을 열거했다. 평소 좋아하던 등산 취미를 살릴 수 있는 일이라 좋고, 귀엽기만 한 유치원생들에게 ‘스타 할아버지’가 되니 좋고, 나무와 꽃뿐 아니라 곤충과 흙까지 끝없이 배워야 하는 과정이 힘들지만 좋단다. 심지어 보수가 100만원이 채 안 되기 때문에 청년층과 일자리 경쟁을 안 해도 돼서 좋다고 했다.

2008년 정년을 못 채우고 직장을 떠날 때 정씨는 이렇게 긍정적이지 못했다. 당시의 섭섭함은 지금도 쉽게 지워지지 않는다. 정씨는 “조직의 생리를 이해하지 않고 사람을 미워했다면 그 섭섭함을 평생 지워내지 못했을 것”이라고 회고했다.

섭섭함을 넘어서자 새 일이 보였다. 사실 두 번째 직업은 첫 번째 일터이던 KT에서의 경험 덕분에 발견할 수 있었다. KT 내 산악회 간부로 주말마다 동료들과 산과 들을 찾았기 때문에 숲 생태해설가에 도전할 수 있었다. “퇴직 뒤 준비로 대부분 재무준비만 생각하는데, 취미개발과 사내 동아리 활동을 열심히 하는 것도 그에 못지않게 중요합니다.”

김진아 기자 jin@seoul.co.kr

홍희경 기자 saloo@seoul.co.kr

2013-05-27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