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 전도사 조승연 작가
삶의 존재 묻는 인문학은 자유인의 학문인간만 할 수 있는 학문에 관심 커질 것
AI가 문학 창작해도 희열은 인간의 몫
조승연 작가
베스트셀러 작가이자, 인문학 전도사로 알려진 조승연 작가는 4차 산업혁명이 인문학에는 위기가 아닌 기회라고 역설했다. ‘2018 서울 미래컨퍼런스’의 ‘인류의 행복과 디지털 기술’ 세션에 대담자로 나서는 조 작가는 10일 “내가 누구이고, 내가 하고 싶은 게 무엇인지를 묻는 인문학은 결국 노동으로부터 자유로운, ‘자유인의 학문’”이라며 “결국 4차 산업혁명도 인간을 노동으로부터 해방을 시켜준다는 것인데, 노동에서 해방된 인간이 할 수 있는 것은 인문학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컴퓨터, 인공지능이 시를 잘 쓸 수는 있겠지만, 시를 쓰며 희열을 느낄 수는 없다”면서 “인간으로서는 인공지능이 아무리 시를 잘 써도 읽을 필요가 없다. 이런 분야가 인간이 할 일”이라고 덧붙였다.
4차 산업혁명 시대는 한편으로 인간에게 위기와 공포라는 암울한 화두들 던진다. 일자리를 잃을 것이라는 위기감, 인공지능이 인간을 통제하는 세상이 올 것이라는 공포감…. 오래전부터 계속된 ‘인문학의 위기’ 또한 예외가 아니다. 디지털 기술이 세상을 지배하며 인문학 영역은 더욱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도 적지 않다.
이런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인간은 자신이 무엇을 하고 싶은지에 대한 질문을 던질 수밖에 없다. 무엇을 해야 재미있고, 아름다움이란 무엇인지에 대한 탐구는 인간만이 할 수 있는 영역이기 때문이다. 조 작가는 “대학에서 강의를 하면 청년들이 자기가 하고 싶은 일을 말하는 게 아니라 무엇을 해야 하느냐고 되레 나에게 묻는다”며 우리 교육이 4차 산업혁명 시대와 큰 괴리가 있다고도 지적했다.
물론 디지털 기술이 인간의 삶을 얼마나 나아지게 할지 여부는 미지수다. 현재진행형인 ‘제4의 혁명’ 끝에 무엇이 있을지를 확답할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조 작가는 “디지털 기술은 아날로그 시대에서 자란 사람에게는 불편할 수밖에 없다”면서 “하지만 현재 지속 불가능한 모델을 지속 가능하게 만들기 위해서는 4차 산업혁명은 어쩔 수 없는 선택이고, 인류는 현존하는 문제를 그때그때 풀어갈 뿐”이라고 말했다.
각종 TV프로그램과 저서로 이름을 알린 조 작가는 외국어와 역사, 문화 등을 알기 쉽게 풀어 전파하는 대중 강연가로 높은 인기를 누리고 있다. 그는 이번 컨퍼런스에서는 다큐멘터리 제작자인 제임스 배럿과 함께 4차 산업혁명과 인간의 행복, 인문학의 미래상을 제시할 예정이다.
안석 기자 sartori@seoul.co.kr
2018-10-11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