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특수교육 초등 국어 AI 교과서 도입
현장에서는 교사 업무 과중될 우려 나와
대상 학년과 실제 태블릿PC 보급 ‘미스매치’
교육 뉴스가 쏟아집니다. 어떤 소식은 내 일처럼 가깝지만 어떤 뉴스는 멀게만 느껴집니다. 알고 보면 우리 일상과 밀접한 교육 이슈를 쉽고 친절하게 풀어드립니다.
2025년부터 인공지능(AI)을 탑재한 디지털교과서가 도입됩니다. 학생 수준을 진단한 ‘맞춤형 수업’으로 자기주도 학습을 지원한다는 겁니다. 그런데 10만명 넘는 특수교육 대상 장애 학생들에 대한 논의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기기 관리할 인력이 없어 교사에게 업무가 과하게 몰릴 가능성이 높은데다, 보조교사 없이는 학생들이 사각지대에 방치될 위험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지난 8일 교육부는 ‘AI 디지털 교과서 추진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특수교육은 2025년 초등 국어를 시작으로 2026년 초등 수학, 2027년 중·고등학교 생활영어, 2028년 중·고등학교 정보통신에서 AI 교과서가 사용됩니다.
그런데 1년 6개월 뒤 도입될 AI 교과서에 특수교육은 시범학교도 지정되지 않았습니다. 국립특수교육원에 시범학교 계획을 문의하자 국립특수교육원 관계자는 “연말에 특수학교 중 시범학교를 지정할 계획에 있다”며 “내년 1월에 연구용역을 시작할 예정”이라고 답했습니다. 정치권에서도 특수교육과 관련된 논의는 나오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교사의 업무 강도가 커진다는 점도 문제입니다. 특수교사들은 AI 교과서 등 디지털 교육 기기가 장애 학생들의 다양성을 보완해준다는 점에서 디지털 기기 도입에는 긍정적인 입장입니다.
다만 특수학교·학급에는 태블릿PC 같은 디지털 기기를 관리할 인력이 따로 없어 교사들이 기기 관리를 떠맡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현직 특수학교 교사 김수민(55·가명)씨는 “일반 학교의 특수학급에 다니는 학생들이 가장 많은데, 보통 학습 기기 관리 등 기타 업무를 모두 교사들이 떠맡는 경우가 많다”며 “보조 인력 없이 사업이 시작된다면 업무가 많아져 아이들에게 오히려 집중하지 못할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학생 특성상 학습 기기들이 상대적으로 자주 망가지는데, 학생들이 망가뜨린 태블릿PC 관리까지 특수교사들이 맡아야 한다는 겁니다.
일반학급에서 함께 생활하는 장애 학생들의 경우 보조교사가 없으면 오히려 학업에 집중하지 못할 거라는 우려의 목소리도 있습니다.
서울 강남구의 한 초등학교 기간제 교사 양승희(26·가명)씨는 “종이 교과서를 쓰는 지금도 학급에 한 명씩 있는 장애 학생들이 수업에 집중하기 힘들어하는데, 태블릿PC를 하루 종일 본다면 수업을 들을지나 의문”이라고 말했습니다.
지난해 교육부 특수교육 통계에 따르면 일반학급에서 수업을 듣는 장애 학생들은 1만7541명입니다.
2025년 도입되는 특수교육 초등국어 대상 학년과 현재까지 태블릿PC를 보급받은 학년이 ‘미스매치’라는 지적도 나옵니다.
서울시교육청은 지난해 일반·특수학급 중학교 1학년에게 태블릿PC인 ‘디벗’을 보급했습니다. 그런데 2025년에 특수교육에 도입되는 AI 교과서는 초등학생 3~4학년 대상입니다. 특수교육원 관계자는 “태블릿PC는 각 시도교육청이 맡고 있는데 꾸준히 보급될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현장에서는 교사 업무 과중될 우려 나와
대상 학년과 실제 태블릿PC 보급 ‘미스매치’
AI 디지털 교과서 추진 방안 말하는 이주호 부총리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지난 8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인공지능(AI) 디지털 교과서 추진방안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2025년부터 인공지능(AI)을 탑재한 디지털교과서가 도입됩니다. 학생 수준을 진단한 ‘맞춤형 수업’으로 자기주도 학습을 지원한다는 겁니다. 그런데 10만명 넘는 특수교육 대상 장애 학생들에 대한 논의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기기 관리할 인력이 없어 교사에게 업무가 과하게 몰릴 가능성이 높은데다, 보조교사 없이는 학생들이 사각지대에 방치될 위험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지난 8일 교육부는 ‘AI 디지털 교과서 추진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특수교육은 2025년 초등 국어를 시작으로 2026년 초등 수학, 2027년 중·고등학교 생활영어, 2028년 중·고등학교 정보통신에서 AI 교과서가 사용됩니다.
그런데 1년 6개월 뒤 도입될 AI 교과서에 특수교육은 시범학교도 지정되지 않았습니다. 국립특수교육원에 시범학교 계획을 문의하자 국립특수교육원 관계자는 “연말에 특수학교 중 시범학교를 지정할 계획에 있다”며 “내년 1월에 연구용역을 시작할 예정”이라고 답했습니다. 정치권에서도 특수교육과 관련된 논의는 나오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다만 특수학교·학급에는 태블릿PC 같은 디지털 기기를 관리할 인력이 따로 없어 교사들이 기기 관리를 떠맡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현직 특수학교 교사 김수민(55·가명)씨는 “일반 학교의 특수학급에 다니는 학생들이 가장 많은데, 보통 학습 기기 관리 등 기타 업무를 모두 교사들이 떠맡는 경우가 많다”며 “보조 인력 없이 사업이 시작된다면 업무가 많아져 아이들에게 오히려 집중하지 못할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학생 특성상 학습 기기들이 상대적으로 자주 망가지는데, 학생들이 망가뜨린 태블릿PC 관리까지 특수교사들이 맡아야 한다는 겁니다.
일반학급에서 함께 생활하는 장애 학생들의 경우 보조교사가 없으면 오히려 학업에 집중하지 못할 거라는 우려의 목소리도 있습니다.
서울 강남구의 한 초등학교 기간제 교사 양승희(26·가명)씨는 “종이 교과서를 쓰는 지금도 학급에 한 명씩 있는 장애 학생들이 수업에 집중하기 힘들어하는데, 태블릿PC를 하루 종일 본다면 수업을 들을지나 의문”이라고 말했습니다.
지난해 교육부 특수교육 통계에 따르면 일반학급에서 수업을 듣는 장애 학생들은 1만7541명입니다.
2025년 도입되는 특수교육 초등국어 대상 학년과 현재까지 태블릿PC를 보급받은 학년이 ‘미스매치’라는 지적도 나옵니다.
서울시교육청은 지난해 일반·특수학급 중학교 1학년에게 태블릿PC인 ‘디벗’을 보급했습니다. 그런데 2025년에 특수교육에 도입되는 AI 교과서는 초등학생 3~4학년 대상입니다. 특수교육원 관계자는 “태블릿PC는 각 시도교육청이 맡고 있는데 꾸준히 보급될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