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성로 명소 귀금속거리

동성로 명소 귀금속거리

입력 2010-07-05 00:00
수정 2010-07-05 00:3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970년 시계매장이 효시… 한해 주얼리 500억 규모 거래

동성로는 귀금속거리로도 유명하다. 동성로 귀금속거리는 1970년부터 동성로 유일의 재래시장인 교동시장을 중심으로 생겨난 시계 매장들이 효시다. 1970년대에는 시계가 큰 인기 품목이었는데 이곳에서는 수리와 중고 판매를 함께 했다.

이미지 확대
대구 동성로의 귀금속거리. 가격이 저렴하고 디자인이 다양해 외국인은 물론 젊은이들이 많이 찾고 있다.
대구 동성로의 귀금속거리. 가격이 저렴하고 디자인이 다양해 외국인은 물론 젊은이들이 많이 찾고 있다.
점차 많은 시계 상점들이 자리 잡기 시작하더니 1970년대 중반부터 순금이나 18K를 취급하는 공장들이 생겼다. 1980년대에는 귀금속 거리의 메카로 급부상하기 시작했다. 이곳의 특징은 귀금속 제품의 제조와 생산은 물론 판매까지 하는 것이다. 따라서 맞춤 제작이 가능하고 도매가로 살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소비자들이 몰리고 있다. 각종 경기대회 및 기능대회에 수십차례 입상한 경력있는 베테랑들이 이 거리에서 일하거나 직접 업체를 경영하고 있다.

가격이 저렴하고 사후관리나 서비스가 잘 이루어지고 있다. 여기에다 다양하고 새로운 디자인을 원하는 젊은 세대가 선호하는 보석들을 선보이고 있다. 이로 인해 대구를 찾는 일본인 등 외국 관광객들이 가장 선호하는 곳 중 하나이기도 하다. 결혼 예물이나 커플링을 구매하려는 젊은 층도 많이 찾고 있다.귀금속 거리에서 일하는 인원만 2000여명에 이르며 한해 시장규모는 500억원, 수출규모는 3000만달러에 이른다.

지난 2007년 이곳은 패션주얼리특구로 지정되었다. 특구 지정으로 대구 보석박람회와 주얼리축제 등 다양한 특화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인근에는 금속 가공공장·판매점과 디자인·전시실 등 복합시설을 갖춘 ‘패션주얼리 전문타운’도 건립되고 있다. 부지 2563㎥, 연면적 8862㎡에 지하1층·지상8층 규모다. 1·2층 귀금속 판매점, 3·4층 전시·디자인실, 체험학습장 등 공동 전시·연구시설, 5~8층 귀금속 가공공장이 들어선다. 이에 따라 가공과 전시, 디자인, 판매 등이 집적화돼 원스톱으로 이뤄지는 시스템이 구축됨으로써 산·학·관 연계를 통한 패션주얼리산업 활성화와 귀금속산업 발전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할 전망이다.

대구 한찬규기자 cghan@seoul.co.kr
2010-07-05 2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2 / 5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2 / 5
2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