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스런 아이를 돈에 견주는 것에 대해 매우 부정적인 생각을 가져왔지만, 아이가 클수록 그런 생각에서 자유롭지 못하게 되는 것 같다. 아이가 무조건 예쁜 것과, 내가 엄마로서 갖는 책임감과는 또 다른 문제다. 아이는 나를 아무 조건 없이 바라보고 웃어주고, 그 웃음이 그 무엇보다 큰 행복감을 주지만, 그와는 별개로 돈과 시간 같은 물질적인 걱정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꼭 돈이 전부는 아니지만 아이가 먹을 것과 입을 것을 사주는 것부터 다양한 경험을 접할 수 있도록 하는 것까지 돈이 필요하지 않은 곳이 없기 때문이다.
●아기 태어나고 보름쯤 되자 양육비 부담 실감
´양육비´를 실감한 것은 아기가 태어난 지 보름쯤 됐을 때다. 산후조리원 생활을 마치고 집으로 돌아오자 신생아 기저귀를 하루에 10개씩 갈아치우는 것을 두 눈으로 보았다. 남편은 그때 처음으로 아빠이자 ´가장´으로서의 책임감이 들었다고 한다. 이렇게 순식간에 갈아치우는 기저귀 값을 자기가 다 감당해야 한다는 실감이 났단다. 모유수유가 어려웠던 초반에 사 먹인 분유가 한 통에 3만~4만원, 기저귀 한 팩에 2만원 안팎. 새것을 사들이는 속도가 생각보다 너무 빨라서 놀랐다. 장난감 몇 개, 옷, 이유식 재료 등 아이가 클수록 돈 들어갈 곳은 늘어났다. 일을 하려고 보니 아이를 맡기는 비용으로 100만원 단위 돈이 아주 우습게 나간다.
이제 두 돌을 바라보는 아이의 말과 행동이 급격히 발달하는 것을 보며 ´교육비´도 생각이 든다. 당장 이 어린아이에게 뭘 시키거나 특별히 가르칠 생각은 아니지만 그래도 중고책을 사도 몇 만원이 쉽게 나가는 것을 보며 앞으로 눈덩이처럼 불어날 비용을 체감하게 된다. 아이 한 명을 대학교까지 보내는 데 3억원 남짓의 돈이 필요하다고 알려져 있는데, 이미 그 대열에 합류했다는 것이 부쩍 와 닿는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지난 2010년 자녀 양육비용을 추계한 결과 한 달 평균 자녀 1인당 양육비 지출 추계액은 한 자녀 가계 월 75만 5972원, 두 자녀 가계 월 65만 8607원, 세 자녀 가계 월 54만 6309원으로 산출됐다. 아이의 연령대로 살펴보면 첫째 아이를 기준으로 했을 때 학령 전인 경우 월 75만 4601원, 초등학교 재학시 월 77만 5534원, 중학교 재학시 월 83만 6821원, 고등학교 재학시 월 96만 5027원, 대학교 재학 시 88만 5900원으로 추계됐다고 한다.(인당 비용 접근법) 자녀 양육비용 추계액은 자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했고, 특히 자녀가 고등학교에 재학 중일 경우가 가장 높았다. 교육비 지출이 가장 높은 이유에서다. 5년 전의 통계를 기반으로 한 결과인 만큼 지금은 더 높아졌으리라고 본다.
지난 6월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김미숙 연구위원의 ‘자녀가치 국제비교’ 연구 내용에서도 이 같은 ´부담´이 드러난다. 9개 국가 부모들의 자녀에 대한 개인적 생각을 의미하는 ‘자녀가치’를 조사한 결과 5점 만점에 평균 점수가 3.29점인 반면 우리나라는 3.17점으로 세 번째로 낮은 쪽에 속했다. 각 항목의 점수는 ▲자녀는 기쁨 4.26점 ▲자녀는 부모의 자유를 제한 3.30점 ▲자녀는 재정적 부담 3.26점 ▲경제활동을 제한 3.25점 ▲자녀로 인해 사회적 지위가 상승 3.17점 ▲성인자녀는 노부모에게 도움 3.54점 등으로 조사됐다.
●부모 스펙도 아이 성장에 영향 주는 현실 캄캄
다른 나라들에 비해 우리나라의 결과가 특이한 점은 자녀에 대한 긍정적인 가치도 높고 부정적인 가치도 높은 양면적인 특성을 보였다는 것이다. 특히 우리나라가 다른 나라들에 비해 높은 점수로 나타난 것은 ‘부모의 자유를 제한한다’는 것과 ‘재정적 부담이 된다’는 것이었다. 자녀가 정신적인 기쁨을 주기는 하지만 자녀를 양육하는 데에는 경제적 부담이 크고 개인적 생활이 제한된다고 생각하는 비율이 높다는 설명이다.
이런 부담은 단순히 아이를 길러내는 비용만으로 그치지 않는다. 아이에게는 먹을 것과 입을 것 외에도 필요한 게 아주 많을 뿐더러 우리가 아이만 키우면서 사는 것도 아니다. 살고 있는 집의 대출도 얼른 갚아야 하고 각종 공과금에 생활비도 있다. 지난해 이사해 살고 있는 집은 1년 만에 전셋값이 1억원이 올랐다. 도저히 감당이 안 된다.
심지어 이제는 아이를 어디서 키우는지도 중요한 문제가 됐고, 아이가 컸을 때 부모가 ´어떤 사람´인지도 무시할 수 없다. 성인이 되고 번듯한 직장에 다니는, 나이 서른 넘은 애 엄마에게도 여전히 “아버지 뭐하시냐”는 질문이 따라붙는 사회다. 고위직 인사들이 성인이 된 자녀들의 취업을 부탁하는가 하면 또 그것이 통한다고 여겨진다. “어디 사느냐”는 한마디로 그 사람의 경제적 수준이 가늠되고, 부모의 ´스펙´이 곧 자녀에게도 영향을 주기도 한다. ´금수저´니 ´흙수저´니 굉장히 듣기 싫은 말이지만, 현실을 외면할 수도 없다. 나는 이런 곳에서 아이를 길러야 한다. 여기까지 생각이 닿으면 그만 앞이 캄캄해진다. 별로 욕심도 없고 그냥 평범하게만 자랐으면 좋겠는데 그것조차 어렵게 느껴지기도 한다.
●부모 의존 안 해 뿌듯… 출발부터 뒤처졌다 생각도
나는 아기를 가졌을 때부터 이 아이가 하고 싶은 일들을 다양하게 경험해 보면서 보다 넓은 시각을 갖고 세상을 볼 줄 아는 사람이 되면 좋겠다고 꿈꿨다. 많은 사랑을 받고 또 받은 것을 베풀 수 있는 사람으로 자라길 바라고 있다. 그 길을 이끌어주고 지원하는 것이 부모의 역할이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일하는 엄마의 삶을 택했다. 아이가 뭔가 경험하고 싶을 때 몇 푼이라도 더 도움을 줄 수 있고, 나의 다양한 경험이 아이의 생각을 넓히는 데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해서다.
그런데 아이를 키우는 시간이 하루씩 늘어갈수록 내가 너무 순진한 생각을 했던 것이 아닌가, 생각이 들 때도 있다. 대학 공부까지 잘 시켜주신 부모님에게 더이상 의존하지 말자며 우리 부부는 둘 만의 힘으로 살림을 시작했다. 그것이 당연한 것이고 뿌듯했던 기분도 가끔은 옅어진다. 출발선부터 뒤처졌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어서다. 게다가 일을 하다 보니 아이와 함께 있을 시간은 급격히 줄었고, 양육비는 훨씬 늘었다. 분명히 일을 하고 돈을 벌지만 생활은 전혀 나아지지 않는다. 그냥 이대로 쳇바퀴만 돌리는 듯한 느낌을 종종 받는다.
●난관 모두 이겨내겠지만 딸 세대에 대물림 없길
아마 시간이 흐를수록 지금 느끼는 것의 몇 배 이상의 더 큰 무거움이 끊임없이 찾아올 것이다. 아이를 봐주시는 이모님은 아들 두 명을 대학에 보내놓고도 아직도 부담감을 떨치지 못했다고 한다. 결혼시킬 걱정 때문이다. “이런 부담감은 죽어야 끝날까 몰라”라는 말에 이상하게 고개가 끄덕여졌다. 이모님은 이제 “부모(자녀의 조부모)에게 도움받아서 결혼시키는 사람들이 부럽다”고 하시는데 쓴웃음이 났다.
물론 나는 엄마니까 아이의 웃음을 무기 삼아 어떤 어려움과 버거움도 이겨낼 것이고, 부모로서의 책임감을 당연하게 받아들이며 앞으로 나아갈 것이다. 하지만 아이가 자라날 이 세상에서 마주하게 될 부담감을 과연 조금이라도 덜어낼 수 있을까. 다른 욕심은 다 제쳐두고 적어도 내 딸이 나와 똑같은 양의 어려움을 대물림하진 않기만을 바란다.
baikyoon@seoul.co.kr
´양육비´를 실감한 것은 아기가 태어난 지 보름쯤 됐을 때다. 산후조리원 생활을 마치고 집으로 돌아오자 신생아 기저귀를 하루에 10개씩 갈아치우는 것을 두 눈으로 보았다. 남편은 그때 처음으로 아빠이자 ´가장´으로서의 책임감이 들었다고 한다. 이렇게 순식간에 갈아치우는 기저귀 값을 자기가 다 감당해야 한다는 실감이 났단다. 모유수유가 어려웠던 초반에 사 먹인 분유가 한 통에 3만~4만원, 기저귀 한 팩에 2만원 안팎. 새것을 사들이는 속도가 생각보다 너무 빨라서 놀랐다. 장난감 몇 개, 옷, 이유식 재료 등 아이가 클수록 돈 들어갈 곳은 늘어났다. 일을 하려고 보니 아이를 맡기는 비용으로 100만원 단위 돈이 아주 우습게 나간다.
이제 두 돌을 바라보는 아이의 말과 행동이 급격히 발달하는 것을 보며 ´교육비´도 생각이 든다. 당장 이 어린아이에게 뭘 시키거나 특별히 가르칠 생각은 아니지만 그래도 중고책을 사도 몇 만원이 쉽게 나가는 것을 보며 앞으로 눈덩이처럼 불어날 비용을 체감하게 된다. 아이 한 명을 대학교까지 보내는 데 3억원 남짓의 돈이 필요하다고 알려져 있는데, 이미 그 대열에 합류했다는 것이 부쩍 와 닿는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지난 2010년 자녀 양육비용을 추계한 결과 한 달 평균 자녀 1인당 양육비 지출 추계액은 한 자녀 가계 월 75만 5972원, 두 자녀 가계 월 65만 8607원, 세 자녀 가계 월 54만 6309원으로 산출됐다. 아이의 연령대로 살펴보면 첫째 아이를 기준으로 했을 때 학령 전인 경우 월 75만 4601원, 초등학교 재학시 월 77만 5534원, 중학교 재학시 월 83만 6821원, 고등학교 재학시 월 96만 5027원, 대학교 재학 시 88만 5900원으로 추계됐다고 한다.(인당 비용 접근법) 자녀 양육비용 추계액은 자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했고, 특히 자녀가 고등학교에 재학 중일 경우가 가장 높았다. 교육비 지출이 가장 높은 이유에서다. 5년 전의 통계를 기반으로 한 결과인 만큼 지금은 더 높아졌으리라고 본다.
지난 6월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김미숙 연구위원의 ‘자녀가치 국제비교’ 연구 내용에서도 이 같은 ´부담´이 드러난다. 9개 국가 부모들의 자녀에 대한 개인적 생각을 의미하는 ‘자녀가치’를 조사한 결과 5점 만점에 평균 점수가 3.29점인 반면 우리나라는 3.17점으로 세 번째로 낮은 쪽에 속했다. 각 항목의 점수는 ▲자녀는 기쁨 4.26점 ▲자녀는 부모의 자유를 제한 3.30점 ▲자녀는 재정적 부담 3.26점 ▲경제활동을 제한 3.25점 ▲자녀로 인해 사회적 지위가 상승 3.17점 ▲성인자녀는 노부모에게 도움 3.54점 등으로 조사됐다.
●부모 스펙도 아이 성장에 영향 주는 현실 캄캄
다른 나라들에 비해 우리나라의 결과가 특이한 점은 자녀에 대한 긍정적인 가치도 높고 부정적인 가치도 높은 양면적인 특성을 보였다는 것이다. 특히 우리나라가 다른 나라들에 비해 높은 점수로 나타난 것은 ‘부모의 자유를 제한한다’는 것과 ‘재정적 부담이 된다’는 것이었다. 자녀가 정신적인 기쁨을 주기는 하지만 자녀를 양육하는 데에는 경제적 부담이 크고 개인적 생활이 제한된다고 생각하는 비율이 높다는 설명이다.
이런 부담은 단순히 아이를 길러내는 비용만으로 그치지 않는다. 아이에게는 먹을 것과 입을 것 외에도 필요한 게 아주 많을 뿐더러 우리가 아이만 키우면서 사는 것도 아니다. 살고 있는 집의 대출도 얼른 갚아야 하고 각종 공과금에 생활비도 있다. 지난해 이사해 살고 있는 집은 1년 만에 전셋값이 1억원이 올랐다. 도저히 감당이 안 된다.
심지어 이제는 아이를 어디서 키우는지도 중요한 문제가 됐고, 아이가 컸을 때 부모가 ´어떤 사람´인지도 무시할 수 없다. 성인이 되고 번듯한 직장에 다니는, 나이 서른 넘은 애 엄마에게도 여전히 “아버지 뭐하시냐”는 질문이 따라붙는 사회다. 고위직 인사들이 성인이 된 자녀들의 취업을 부탁하는가 하면 또 그것이 통한다고 여겨진다. “어디 사느냐”는 한마디로 그 사람의 경제적 수준이 가늠되고, 부모의 ´스펙´이 곧 자녀에게도 영향을 주기도 한다. ´금수저´니 ´흙수저´니 굉장히 듣기 싫은 말이지만, 현실을 외면할 수도 없다. 나는 이런 곳에서 아이를 길러야 한다. 여기까지 생각이 닿으면 그만 앞이 캄캄해진다. 별로 욕심도 없고 그냥 평범하게만 자랐으면 좋겠는데 그것조차 어렵게 느껴지기도 한다.
●부모 의존 안 해 뿌듯… 출발부터 뒤처졌다 생각도
나는 아기를 가졌을 때부터 이 아이가 하고 싶은 일들을 다양하게 경험해 보면서 보다 넓은 시각을 갖고 세상을 볼 줄 아는 사람이 되면 좋겠다고 꿈꿨다. 많은 사랑을 받고 또 받은 것을 베풀 수 있는 사람으로 자라길 바라고 있다. 그 길을 이끌어주고 지원하는 것이 부모의 역할이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일하는 엄마의 삶을 택했다. 아이가 뭔가 경험하고 싶을 때 몇 푼이라도 더 도움을 줄 수 있고, 나의 다양한 경험이 아이의 생각을 넓히는 데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해서다.
그런데 아이를 키우는 시간이 하루씩 늘어갈수록 내가 너무 순진한 생각을 했던 것이 아닌가, 생각이 들 때도 있다. 대학 공부까지 잘 시켜주신 부모님에게 더이상 의존하지 말자며 우리 부부는 둘 만의 힘으로 살림을 시작했다. 그것이 당연한 것이고 뿌듯했던 기분도 가끔은 옅어진다. 출발선부터 뒤처졌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어서다. 게다가 일을 하다 보니 아이와 함께 있을 시간은 급격히 줄었고, 양육비는 훨씬 늘었다. 분명히 일을 하고 돈을 벌지만 생활은 전혀 나아지지 않는다. 그냥 이대로 쳇바퀴만 돌리는 듯한 느낌을 종종 받는다.
●난관 모두 이겨내겠지만 딸 세대에 대물림 없길
아마 시간이 흐를수록 지금 느끼는 것의 몇 배 이상의 더 큰 무거움이 끊임없이 찾아올 것이다. 아이를 봐주시는 이모님은 아들 두 명을 대학에 보내놓고도 아직도 부담감을 떨치지 못했다고 한다. 결혼시킬 걱정 때문이다. “이런 부담감은 죽어야 끝날까 몰라”라는 말에 이상하게 고개가 끄덕여졌다. 이모님은 이제 “부모(자녀의 조부모)에게 도움받아서 결혼시키는 사람들이 부럽다”고 하시는데 쓴웃음이 났다.
물론 나는 엄마니까 아이의 웃음을 무기 삼아 어떤 어려움과 버거움도 이겨낼 것이고, 부모로서의 책임감을 당연하게 받아들이며 앞으로 나아갈 것이다. 하지만 아이가 자라날 이 세상에서 마주하게 될 부담감을 과연 조금이라도 덜어낼 수 있을까. 다른 욕심은 다 제쳐두고 적어도 내 딸이 나와 똑같은 양의 어려움을 대물림하진 않기만을 바란다.
baikyoon@seoul.co.kr
2015-11-14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