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채무·국가신용의 상관성은
獨, 재정준칙 강화 등 관리로 기존 등급 유지그리스, 막대한 재정 투입에도 장기 저성장
스페인 아일랜드 신용등급 및 국가채무비율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스페인은 낮은 경제성장률과 실업률 상승을 막기 위해 대규모 재정을 투입하는 부양책을 폈다. 이에 국내총생산(GDP) 대비 채무비율이 2008년 39.4%에서 2012년 85.7%로 4년 만에 2.2배나 됐나. 이 기간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기준 스페인 국가신용등급은 최고등급 ‘AAA’에서 ‘BBB-’로 9계단이나 떨어졌다.
아일랜드도 마찬가지다. 2007년 GDP 대비 채무비율이 23.9%에 불과했던 아일랜드는 2008년 들어 부실 금융기관 구제를 위해 막대한 공적자금을 투입하면서 재정건전성이 크게 악화됐다. 2011년엔 채무비율이 111.1%까지 치솟아 4년간 4.6배 상승했다. 2007년 ‘AAA’였던 신용등급은 2011년 ‘BBB+’로 7계단 하락했다.
경제 위기 때 일시적으로 재정건전성이 악화됐더라도 엄격하게 관리했을 땐 신용등급이 유지됐다. 독일은 2007년 64.0%였던 채무비율이 2010년 82.3%까지 악화됐다. 이에 강화된 재정준칙을 도입하는 등 관리에 나섰고 2015년엔 72.0%로 채무비율을 떨어뜨렸다. 독일 신용등급은 ‘AAA’가 계속 유지됐다.
경제 위기 이후 재정건전성을 회복하지 못한 국가는 장기 저성장에 빠지는 모습도 보였다. 그리스의 경우 2007~2010년 채무비율이 16.3% 포인트(112.8%→129.1%) 증가했고 2010~2018년에도 64.6% 포인트(129.1%→193.7%) 치솟았다. 이처럼 나랏빚을 고려하지 않은 막대한 재정 투입에도 그리스는 2011~2018년 경제성장률이 평균 -1.0%를 기록했다. 이탈리아도 채무비율이 2007년 110.3%에서 2018년 147.3%로 증가했는데 2011~2018년 평균 경제성장률은 -0.1%로 뒷걸음질쳤다.
조경엽 한국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국가채무의 절대적 수준, 증가 속도, 대외 의존도, 고령화 수준, 기축통화국의 유무에 따라 지속가능한 성장을 담보할 수 있는 적정 국가채무 수준이 나라별로 다르다”며 “한국은 고령화와 저출산이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어 선진국에 비해 국가채무 위기에 직면할 가능성이 높다”고 우려했다.
2021-08-11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