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스토리] 꿀벌과 공존 꿈꾸는 도시

[커버스토리] 꿀벌과 공존 꿈꾸는 도시

입력 2014-05-24 00:00
수정 2014-05-24 02:0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꿀벌에 빠졌다… 달콤한 도시인

23일 오전 서울 명동 유네스코회관 옥상. 어반비즈서울 박진(32) 대표와 송원일(23)씨가 벌통을 열자 2만여 마리의 벌이 득실거리며 위용(?)을 드러냈다. ‘명동 벌’들이 하루 3~10여 차례 벌통을 드나들며 모아 온 것은 아카시아 꿀. 행동반경이 2~4㎞인 벌들의 밀원(벌이 꿀을 빨아 오는 원천)은 유네스코회관 옥상에서 곧장 바라다보이는 남산이었다. 박 대표는 벌들의 날갯짓으로 수분을 날린 숙성꿀을 오는 7월 채밀할 예정이다.

이미지 확대
빌딩숲 가운데인 서울 명동 유네스코회관 옥상에서 23일 박진(오른쪽) 어반비즈서울 대표와 양봉 수강생이 벌집을 들어 보이고 있다. 이 옥상에 있는 벌통 5개에는 꿀벌 10만여 마리가 살고 있다.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빌딩숲 가운데인 서울 명동 유네스코회관 옥상에서 23일 박진(오른쪽) 어반비즈서울 대표와 양봉 수강생이 벌집을 들어 보이고 있다. 이 옥상에 있는 벌통 5개에는 꿀벌 10만여 마리가 살고 있다.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두 아이의 아빠인 회사원 박인규(37)씨는 주말마다 육아와 양봉으로 쉴 틈이 없다. 지난해 여름 도시 양봉을 처음 시작한 그는 지난달 초 내친김에 서초구 서초동 서울연구원에 자신만의 벌통을 하나 마련했다. 그는 “요즘 ‘벌집 아이스크림 사건’으로 시끄러운데 내가 가꾼 벌집 사진을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올렸더니 사람들의 관심이 폭발적”이라며 “벌 개체 수 급감으로 생태계가 위기라는데 도시에서라도 작은 변화를 일으켜 보고 싶다”고 말했다.

8년째 한국에서 살고 있는 프리랜서 번역가 영국인 벤 잭슨(33)은 시골 고향에서도 안 하던 양봉을 서울 한복판에서 도전하고 있다. 지난 3월부터 노들섬에서 벌을 치기 시작한 그는 “벌이 바지에 들어갔는데 쏘이기 전에 무사히 탈출시켰다”며 웃음을 터뜨렸다. “21세기 도시에서 양봉을 하는 것은 인간과 자연이 친화하기 위한 한 걸음”이라고 믿는 그는 “이웃들의 반대만 없다면 집 옥상에서도 꿀벌을 키우고 싶다”고 말했다.

‘꿀벌에 빠진 도시인’들이 소리소문 없이 늘고 있다. 현재 서울 도심에서 벌을 칠 수 있는 곳은 11곳에 이른다. 대전에도 9곳의 도심 양봉장이 들어섰다. ‘도시 양봉가’ 키우기에 나선 사회적 기업 어반비즈서울의 경우 지난해 6월 첫 양봉 수업 수강생이 15명이었는데 4개월 만에 60명을 넘어섰다. 중학생부터 회사원, 주부, 70대 은퇴자까지 연령대와 관심사가 제각각인 이들이 ‘꿀벌 살리기’에 나선 이유는 뭘까.

박 대표는 “양봉 교육 희망자 23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새로운 문화를 경험해 보고 싶은 ‘얼리어답터’(32%)형과 꿀벌을 살려 지구를 지키고 싶어 하는 ‘독수리오형제’(21%)형이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었다”며 “수요가 많아지는데도 벌을 칠 장소와 강사가 부족해 정원을 늘리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4-05-24 1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금투세 유예 vs 폐지
더불어민주당이 내년 1월 시행 예정인 금융투자소득세(금투세) 도입 여부 결정을 지도부에 위임해 국민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국민의힘은 금투세 폐지를 당론으로 정했고, 민주당 내부에서는 유예와 폐지에 대한 의견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유예와 폐지, 두 가지 선택이 있다면 당신의 생각은?
유예해야 한다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