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스토리] 의료계 “과거보다 건강상태 좋아 65세 기준 불합리”

[커버스토리] 의료계 “과거보다 건강상태 좋아 65세 기준 불합리”

입력 2012-11-10 00:00
수정 2012-11-10 00:3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노인에 대한 의학적 견해

세계보건기구(WHO)와 우리나라 노인복지법이 정한 노인의 기준연령은 만 65세다. 하지만 노인복지법이 제정된 1981년만 하더라도 한국인의 기대수명이 66세에 불과했다. 현재 한국인의 기대수명은 81세로, 당시보다 15년이나 오래 살게 되었지만 노인의 기준은 아직도 30년 전 그대로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고령화 진행 속도가 세계에서 가장 빠른 수준이어서 노인의 기준연령 조정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절실하지만 아직까지 이렇다 할 논의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이 때문에 관련 법규나 제도마다 노인을 적게는 55세에서 많게는 65세까지 폭넓게 규정하는 등 혼란이 적지 않은 실정이다.

이런 문제를 짚기 위해서는 노인기에 나타나는 의학적 변화를 살펴봐야 한다. 전문의들은 일단 노화가 시작되면 심폐기능과 근력·근지구력·유연성 등 건강체력이 약해지면서 면역기능이 떨어져 쉽게 질병에 노출될 뿐 아니라 환경 변화에 대한 적응력에도 문제가 나타난다고 말한다.

노화가 진행되면서 나타나는 가장 특징적인 변화는 근육의 양과 근력 감소. 이는 근기능의 퇴화로 이어진다. 이어 체지방이 늘면서 세포의 수분 함량 및 골밀도 감소 등의 현상이 가속화한다. 특히 근기능 퇴화는 활동력 위축으로 이어져 노화기 신체능력의 저하를 부추길 뿐 아니라 사망률까지 함께 높인다. 물론 노화에 따른 일련의 변화는 자연스러운 현상이지만 삶의 환경이 좋아지면서 과거와는 노화 연령대가 크게 달라졌을 뿐 아니라 개인 간의 편차가 커진 점을 적극적으로 인정할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 의료계에서는 “노화의 정도가 사람마다 다르고 비슷한 노화라고 하더라도 개개인의 생물학적 특성이 제각각이어서 연령을 잣대로 노인의 상태를 일률적으로 평가하기는 어렵다.”면서도 “분명한 것은 과거의 기준으로 현재 노인을 규정하는 것은 의학적으로 상당히 불합리하다는 점”이라고 말하고 있다. 전문의들은 “이런 문제 때문에 의료 현장에서는 고령자를 노인이라는 하나의 틀로 이해해서는 안 된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으며, 당연히 개개인의 신체적·정신적 특성을 따져 접근하도록 하고 있다.”고 전했다.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가정의학과 김경수 교수는 “최근 병원을 찾는 환자들 가운데 의학적인 노인의 기준에 어울리는 환자는 대부분 65세 이상”이라며 “이는 과거와는 다른 양상으로 나이가 비슷하더라도 이전에 비해 건강 상태와 신체 조건이 훨씬 좋아진 것이 사실”이라고 말했다.

김 교수는 이어 “통계상으로도 2011년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전체 인구의 11.3%를 넘었고 2026년에는 20%를 넘어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따라서 건강과 신체적 조건, 사회적 환경 등을 반영해 노인에 대한 통일된 기준을 새로 정립할 필요가 있으며 현재 통용되고 있는 기준 연령이 현실적으로 타당한지에 대해서도 신중한 검토와 논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심재억 전문기자 jeshim@seoul.co.kr

2012-11-10 2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금투세 유예 vs 폐지
더불어민주당이 내년 1월 시행 예정인 금융투자소득세(금투세) 도입 여부 결정을 지도부에 위임해 국민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국민의힘은 금투세 폐지를 당론으로 정했고, 민주당 내부에서는 유예와 폐지에 대한 의견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유예와 폐지, 두 가지 선택이 있다면 당신의 생각은?
유예해야 한다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