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호종료아동 당사자인 손자영씨가 다른 보호종료아동 친구들과 함께 드라마에 등장하는 ‘고아’를 부정적으로 묘사한 장면을 새롭게 다시 쓰고 그린 모습.
아름다운재단 제공
아름다운재단 제공
“고아니까 가정교육을 못 받으면 도둑이 된대. 그래서 술집 딸도 자꾸 거짓말을 하는 거래.”(KBS 드라마 ‘동백꽃 필 무렵’ 중)
드라마에 등장하는 보호종료아동을 묘사한 대사다. 흔히 ‘고아’라고 불리는 보호아동의 이미지는 미디어에서 부정적으로 소비된다. ‘고아라서’ 범죄를 저지르거나 ‘고아이기 때문에’ 자신이 목적한 바를 위해 물불 가리지 않는 등 납작한 캐릭터로 표현된다. 이런 이미지는 시청자들의 머릿속에 뿌리 깊게 박혀 보호아동을 향한 편견과 차별로 이어진다. 보호아동에 대한 지원 보완과 함께 시민 인식이 개선돼야 하는 이유다.
보호종료아동 당사자인 손자영(사진·26)씨는 이런 작품을 볼 때마다 불편함을 느낀다. 손씨는 지난달 28일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드라마나 영화를 보면서 가장 많이 하는 말이 ‘또야’라고 할 정도로 작품 속에서 잘못을 저지른 사람은 고아였다”며 “이런 캐릭터가 미디어를 통해 반복적으로 노출되면 모든 보호아동을 차별과 편견 어린 시선으로 바라볼까 봐 우려된다”고 말했다.
손씨는 아름다운재단과 함께 보호종료아동 인식 개선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다. 우선 최근 10년간 나온 드라마나 영화 중 ‘고아’가 나오는 드라마의 등장인물 46명을 직접 분석했다. 손씨는 “보호종료아동은 ‘악인’이거나 ‘악녀’, 야망을 품고 불륜을 저지르거나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동정심을 갖게 하는 인물로 그려졌다”면서 “부정적인 이미지뿐만 아니라 불합리한 일을 당해도 고아라는 캐릭터 때문에 지나치게 꿋꿋하게 사는 ‘캔디’ 같은 인물도 비현실적”이라고 지적했다.
드라마나 영화 등 각종 미디어에 등장하는 보호종료아동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를 개선하는 캠페인을 진행 중인 보호종료아동 당사자 손자영씨.
아름다운재단 제공
아름다운재단 제공
손씨는 드라마, 영화, 웹툰 등 작품을 만드는 사람들의 인식부터 개선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내 주변의 수많은 보호종료아동 당사자는 모두 직업을 가지고 다양한 모습으로 살아가고 있다”며 “단순히 범죄자, 사이코패스, 불쌍한 캔디처럼 편협한 캐릭터가 아니라 있는 그대의 모습을 보여 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