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질적으로 필요한 지원은
정착금 탕진·사기당하는 경우도
살아갈 수 있는 방법 가르쳐줘야
29일 서울신문이 만난 보호종료아동들은 고지서 납부, 세탁기 고장 등 예기치 못한 다양한 상황에서 애를 먹었다고 입을 모았다. 보호종료아동 박강빈(24)씨는 “취업을 해서 돈은 넉넉하게 있었지만 수도요금 고지서를 받고도 내야 하는지를 몰랐다”며 “어느 날 물이 안 나와 알고 봤더니 수도요금이 밀려서였다. 당시엔 이러다 신용불량자가 되는 것 아닌지 걱정이 앞섰다”고 말했다. 조규환(23)씨는 “모르는 게 많은데 누구한테 도움을 청해야 할지 막막했다”며 “새벽에 아파 응급실에 가야 했는데 병원비가 얼마가 나올지 몰라 비상약을 먹고 버틴 적도 있다”고 털어놨다.
앞서 정부는 보호아동 본인이 원하면 만 18세에 자립하지 않고 만 24세까지 보육원에 머무를 수 있도록 제도를 바꿨다. 그럼에도 보호아동 대부분은 집단생활을 마치기 위해 자립을 선택한다.
경제관념이 부족해 500만원인 자립정착금 등을 금새 써 버리는 경우도 적지 않다. 경기도의 한 보육원 총무팀장으로 일하는 안재영(38·가명)씨는 “아이들은 자기 이름 앞으로 모아진 돈(후원금과 자립정착금 등)을 하루빨리 찾고 싶어하지만, 경제관념이 없어서 흥청망청 쓰는 경우가 적잖다”고 말했다. 그는 “자립을 해도 멀리 못 가고 보육원 인근에서 지내면서 일종의 ‘퇴소생 네트워크’의 꾐에 넘어가 사기를 당해 뒤늦게 연락이 오는 경우도 있었다”고 전했다.
이에 보호대상아동을 대상으로 이뤄지고 있는 자립 관련 교육 프로그램의 실효성을 높여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보호종료아동 차민솔(24)씨는 “부모님이 안 계시다 보니 사소한 것들을 가르쳐 줄 사람이 없다”며 “정부가 단순히 금전 지원을 해 주는 데 더해 관리비는 어떻게 내고, 적금은 어떻게 하는지 등 살아갈 수 있는 방법을 가르쳐 주는 게 가장 절실하다”고 했다.
보호아동 스스로의 의지도 중요하다. 안씨는 “보호아동들을 옆에서 지켜보니 자립을 곧 닥칠 현실로 받아들이지 않는 경향이 강하다”며 “세탁기를 돌리는 방법을 알려 줘도 시설에서 다 해 주니까 ‘나중에는 혼자 해야 해’라는 말이 와닿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2022-03-30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