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희진·이근아 기자의 아무이슈] 시각장애인 타로 상담가 류연옥씨
시각장애인 타로 상담가 류연옥씨
●공부하면서 부정적 생각 날리고 행복해
볼 수 없는데 볼 수 있을까. 시각장애인의 타로카드 얘기다. 류씨는 20년 전 시력을 완전히 잃었다. 당뇨망막병증이었다. 운영하는 가구숍을 닫고 나니 할 수 있는 일이 없었다. 결국 안마숍을 찾았다.
“우리 시각장애인들은 특수 대학을 나와도 자리가 없어서 대부분 안마사를 하는 경우가 많아요. 저도 그랬죠.”
안마숍 실장으로 취직한 류씨는 근육학 등을 배우기 위해 부산에서 서울을 오가며 공부했다. 사이버대학에서 심리 상담을 공부하고 사회복지사(2급) 자격증도 땄다. 타로 상담을 배우게 된 건 3년 전. 사고로 골반을 다쳐 걸음이 불편해지면서다.
“긍정적인 성격인데도 힘들더라고요. 타로도 처음에는 ‘보이지도 않는데 배워서 내가 뭘 하지’, ‘한 장당 뜻이 5~7개라고? 내가 이걸 다 어떻게 외워’ 같은 부정적인 생각만 들었어요. 근데 (타로를 하는) 지금은 너무 행복해요.”
류씨는 배리어프리 문화예술 단체 ‘꿈꾸는 베프’의 타로 심리 프로그램(40시간)을 통해 타로를 만났다. 점자가 새겨진 타로카드와 타로 이미지 해설본을 손으로 읽어 타로를 배웠다. 지난해에는 타로 심리 상담사 민간자격증(1급)도 취득했다.
●“안 보여서 내담자는 더 편할 수 있으니 장점”
그는 타로카드를 ‘끈’이라고 설명했다. 사람들은 무의식의 세계 속에서 모두 연결돼 있는데, 타로카드라는 매개를 통해 그 무의식을 읽고 타인과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내담자의 알 수 없는 고민을 들여다보면서 자기 자신을 돌아보게 되는 일도 많다고 했다.
“여름에 손에 땀이 많이 나면 점자가 잘 안 읽혀요. 겨울에는 또 손이 꽝꽝 어니까 막 문질러서 읽고…. 그래도 내담자는 정색하고 눈을 마주치지 않는 제가 상담하기 더 편할 수 있어요. 안 보이는 것이 장점이 되는 거지요.”
각종 장애인 관련 행사 등에서 타로 상담을 하고 있는 류씨는 내년에는 자기만의 공간을 마련해 사람들을 만나고 싶다고 말했다.
“우리 시각장애인들이 일반인과 좀 다르긴 하지만 함께 이 세상을 걸어갈 수 있고 당당하게 살아갈 수 있고 또 자기 존재감을 느끼면서 할 수 있는 직업을 많이 개발해 주셨으면 좋겠어요. 그래도 저희들 상당히 당당하게 잘하고 있잖아요?”
부산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부산 이근아 기자 leeguenah@seoul.co.kr
2020-12-22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