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는 자유롭게 마음대로 읽는 것… 독자가 완성하는 거니까”

“시는 자유롭게 마음대로 읽는 것… 독자가 완성하는 거니까”

오경진 기자
오경진 기자
입력 2024-12-19 23:42
수정 2024-12-20 04:4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에게서 에게로/김근 지음/문학동네/144쪽/1만 2000원

이미지 확대
시인 김근. ⓒ남승민
시인 김근.
ⓒ남승민


언어와 언어 아닌 것 혹은 나와 나 아닌 것. 시인 김근(51)은 이 사이를 헤매는 사람이다. 잘 보이지 않아도 분명히 존재하는, 마치 우주의 ‘암흑 물질’과도 같은 그런 힘. 김근은 그 힘을 포착하고 시로 적는다. 최근 새 시집 ‘에게서 에게로’를 펴낸 그를 19일 서울 동작구 중앙대학교 인근 한 카페에서 만났다.

“시하고 멀어진 적은 없어요. 늘 고민하는 거죠. 시인이라고 하는 사람은 쓰지 않아도 시 생각을 하거든요. 시집 한 권을 내면 하나의 세계와 이별한다는 느낌이 드는데요. 다른 세계를 찾아서 가야 하는데 그게 찾아지지 않을 때 힘들죠.”

이번 시집을 묶기까지 꼬박 10년이 걸렸다. 2014년 김근에게는 두 가지 커다란 사건이 있었다. 하나는 우리 모두의 사건인 세월호, 그리고 다른 하나는 어머니의 죽음이었다. 그는 “사회적 애도가 개인적 애도를 덮어 버렸던 시기”라고 했다. 이것을 쓰지 않고 넘어갈 수는 없었다. 하지만 잘 써지지는 않았다. 죽은 어머니를 떠올렸지만 슬픔이나 비통과 같은 ‘감정’이 담기진 않았다. 오히려 의미는 사라지고 음성만 남았다. 시집 전반에는 강력한 리듬이 흐르고 있다.

“나의 이야기를 쓰고 싶다는 욕망과 그걸 회피하고 싶다는 두 가지 욕망이 상충했어요. 그러다 보니 시가 파편적으로 쓰였고 사이사이 리듬이 끼어들더라고요. 그렇게 완성하고 나니 생각지도 못한 무늬가 그려졌어요. 제 시집을 읽는 독자께는 의미나 이야기를 찾기보다는 먼저 소리를 내서 읽어 보시면 좋겠다는 제안을 해 봅니다. 자기의 호흡으로 소리를 따라가다 보면 의미 이전의 무언가를 찾을 수 있지 않을까….”

이미지 확대


1998년 등단 이후 다섯 권의 시집을 냈다. 26년간 시를 숱하게 읽고 썼다. 동시에 중앙대 문예창작학과 겸임교수로 시인을 꿈꾸는 이들에게 오랫동안 길을 알려 주기도 했다. 문단에서 시인으로 활동하는 제자도 여럿이다. 첫 수업에서 그가 꼭 하는 말이 있다. 시를 자유롭게 읽으라는 것. 조금 더 세게 이야기하면 ‘마음대로’ 읽으라는 것. 시인의 손을 떠난 시를 완성하는 건 독자라고 그는 굳게 믿었다.

“시집의 제목을 나중에 정했는데 마음에 들었어요. ‘에게서 에게로’. 체언(體言)의 자리가 비어 있는 것인데요. 독자가 나름대로 채워서 읽으면 되겠습니다. ‘나에게서 너에게로’든 ‘나에게서 나에게로’든. 누구든 또는 무엇이든 그 자리에 올 수 있으니 제 시집 안에서 독자들이 재밌게 놀았으면 좋겠어요.”

그래서일까. 시집에는 토막 난 시어의 잔해가 즐비하다. 그것이 문장이고 단어라서 망정이지 만약 사람의 몸이었다면 끔찍했을 것이다. 예컨대 이런 식이다. “말. 학. 온통 집어삼킬 듯. 화염. 이. 라고. 말. 뜨. 하. 거. 기.”(‘미처 다물지 못한’ 부분)

그는 의식하지 못했다고 했지만 시집에는 ‘어둠’의 이미지가 가득하다. 하지만 어둠은 김근에게 단순히 ‘빛이 없는 상태’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시인은 오히려 “어둠도 밝음도 아닌 그 사이에 제 말이 있는 것 같다”고 했다.

110쪽을 펼치면 ‘윤슬’이라는 시가 나온다. 잔물결에 부딪힌 빛이 반짝이는 것을 뜻하는 순우리말이다. 시인은 여기서 ‘반’과 ‘짝’ 사이에 무엇이 있을지 생각한다. 뚜렷함을 좋아하는 인간의 언어는 세계 안에서 애초 경계가 없었던 것 사이에 마구 금을 긋는다. 시가 하는 일은 그 경계를 무너뜨리는 것 아닐까. 무엇이 시를 ‘시적인 것’으로 만드는지 물어봤다. 한참을 고민한 뒤 이렇게 대답했다.

“시도 소통이니까 일단 합의되고 결정된 개념을 가져다 쓰죠. 하지만 그걸 회의하고 의심하면서 계속 사이를 만들어 나가는 거죠. 시적인 것이라, 글쎄요. 외부의 어떤 것이 시 안으로 들어왔을 때 본래의 의미를 잃어버리는 것. 그런 건 충분히 시적인 것이라 생각해요.”
2024-12-20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