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은 어떻게 특권이 되었나

시간은 어떻게 특권이 되었나

이은주 기자
이은주 기자
입력 2024-12-19 23:42
수정 2024-12-19 23:4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시간 불평등/가이 스탠딩 지음/안효상 옮김/창비/544쪽/2만 8000원

이미지 확대


시간은 건강 다음으로 소중한 자산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기 시간을 실질적으로 통제하지 못하고 많은 시간을 원치 않는 활동에 쓰도록 강요받거나 유도되고 자신이 원하는 활동을 할 기회를 박탈당한다.

현재 전 세계 연평균 노동시간은 1800시간에 육박하고 한국 노동자들은 연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보다 39일 더 일한다. 한국은 ‘장시간 노동 국가’, ‘과로 사회’, ‘일중독 사회’라는 꼬리표를 여전히 벗어던지지 못하고 있다.

‘프레카리아트’라는 새로운 사회 계급 개념을 정립하고 사회적·경제적 불평등에 맞서는 대안으로 기본소득을 주장해 온 저자는 “시간 불평등이야말로 모든 불평등 가운데 가장 최악”이라고 경고한다. 노동에 매몰된 시간 속에서 돌봄, 우정, 정치적 참여와 숙의의 자리가 줄어들면서 민주주의의 기반이 약화되고 각종 불평등과 빈곤이 더욱 심화된다는 것이다. 책은 언제부터 다수의 시간이 노동을 중심으로 재편되고 시간의 자유는 소수만 누릴 수 있는 특권이 되었는지 역사적으로 규명한다.

정치경제학자인 저자는 시간을 사용하는 방식이 현대 사회에 이르러 더욱 왜곡되고 불합리해졌다고 주장한다. 신자유주의가 득세하면서 노동자가 작업장 밖에서도 일하는 것이 당연해졌고 한꺼번에 여러 가지 일을 수행하고 노동과 여가의 경계가 희미해져 노동시간을 정확히 측정할 수 없게 됐다.

저자는 이 같은 상황이 프레카리아트에게 더 위협적이라고 말한다. 프레카리아트는 소득을 토지 임대료나 정기적인 봉급, 비임금 특전 등이 아니라 오직 임금 노동에만 의존해 불안정한 노동을 하는 계급이다.

그들은 대부분 임시직, 단기 계약직, 심부름 노동, 플랫폼 노동 등에 동원되는데 일자리의 불확실성 때문에 안정적인 소득을 확보하기 어렵고 자신의 시간을 거의 통제할 수 없게 된다. 불필요하고 비생산적인 일에도 상당한 시간을 써야 한다.

저자는 “사람들에게 필요한 것은 단순히 일자리 보장이 아니라 불안정하고 무의미한 일자리에 매달리지 않고도 먹고살 수 있는 방법”이라면서 “일할 권리 대신 일하지 않을 권리를 우선시하며 모두의 시간을 존중하는 소득과 분배 체제를 정립하는 것이 시간 불평등 해결의 핵심”이라고 말했다.
2024-12-20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