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의 끝
리디아 데이비스 지음/송원경 옮김
난다/324쪽/1만 8500원
2013년 세계 3대 문학상으로 꼽히는 영국 맨부커상을 수상한 작가 리디아 데이비스. 난다 제공
오래전 끝난 연애가 소설로 쓰인다면 구질구질한 집착이라고 몸서리칠까 아니면 문득 되돌아보게 만드는 사랑의 재현이라 생각할까.
2013년 맨부커상 수상 작가인 리디아 데이비스(77)의 장편소설 ‘이야기의 끝’은 10여년 전 실패했던 연인과의 기억을 소설로 재구성하려는 소설가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미국 문단에서 그 자체가 ‘하나의 장르’라는 찬사를 받는 데이비스가 쓴 이번 소설은 독특한 형식으로 전개된다. 작중 소설가인 화자가 회고를 통해 풀어내는 실패한 과거의 사랑 이야기와 그 연애의 기억을 소설로 복기하는 현재의 이야기가 얽혀 있는 구조다.
이런 형식은 독자가 이야기를 만드는 과정에 참여하는 듯한 느낌을 준다. 더불어 지나간 시간을 글로 쓰며 과거의 시간을 보존하려는 소설가 화자를 통해 ‘과연 인간의 기억이 얼마나 실제 과거에 부합하는가’라는 의문도 던진다.
“이것이 이야기의 끝인 것 같았고, 잠시나마 긴 소설의 끝이기도 했다. 이야기의 나머지 부분을 계속 이어 가려면 끝을 먼저 말해야 할 것처럼. 처음부터 시작하는 것이 더 간단했겠지만, 그 뒤에 오는 게 없다면 시작은 큰 의미가 없었고, 그 뒤에 오는 것은 끝이 없으면 큰 의미가 없었다. 누가 이 소설에 대해 물으면 잃어버린 남자에 대한 이야기라고 대답한다.”
이 소설은 소설가 화자가 쓰고 있는 소설의 마지막 끝부분을 묘사하며 출발한다. 화자가 마지막으로 ‘그’를 봤던 기억과 ‘그’를 그만 찾기로 결심한 기억 등 소설은 줄곧 ‘끝’에 집착하고 의식한다. 그래서인지 시간이 지나 차분하고 이성적인 현재의 시선으로 과거의 강렬했던 연애의 순간을 목격하는 묘미를 느낄 수 있다.
독창적이고 대담한 글쓰기가 특징인 데이비스는 미국 문단에서 독보적인 작가로 통한다. 특유의 따끔한 유머와 간결한 문체를 잘 살린 ‘엽편’(단편보다 더 짧은 이야기 장르) 작가로 유명한 그가 유일하게 쓴 장편소설이 바로 이 작품이다. 작가는 원래 짧은 이야기로 구상했지만 이야기 속 화자에 사로잡혀 장편 분량으로 확장했다며 작품에 대한 애정을 드러냈다. 작가의 의도대로 장편소설만이 보여 줄 수 있는 삶에 대한 섬세한 통찰이 담겼다.
지난해부터 ‘불안의 변이’, ‘형식과 영향력’, ‘못해 그리고 안 할 거야’ 등 한국에 잇달아 출간된 데이비스의 책들은 국내 독자들에게 독특한 문체의 매력을 전하고 있다.
2024-10-25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