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탁 콤플렉스
조현설 지음
이학사/208쪽/1만 6000원
占에 매달릴수록 콤플렉스 커져
결국 신탁 대면하는 인간에 달려
심리학자 지크문트 프로이트는 아이가 이성 부모에게 무의식적으로 성적 애착을 지니고, 동성 부모에게 적대감을 지니게 되는 심리를 가리켜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라 명명했다.
신화학자인 저자는 이에 반박해 ‘신탁 콤플렉스’라는 개념을 제시한다. 신탁에 집착하거나 신탁을 회피하려다 오히려 신탁을 실현케 하는 역설을 가리킨다. 오이디푸스의 비극은 라이오스 왕이 신탁을 따라 아들을 버렸기 때문이고, 아들인 오이디푸스는 신탁을 피하다가 아버지를 죽였다는 게 이야기의 핵심이라고 강조한다.
저자는 우리 신화와 전설, 민담 등 옛이야기에서도 신탁 콤플렉스를 발견한다. ‘바리데기’, ‘창세가’, ‘천지왕본풀이’, ‘도랑선비 청정각시’, ‘심청가’, ‘멩감본풀이’ 등 여러 신화와 전설을 새롭게 해석한다. 신탁은 인간의 불행을 예고하고 경고를 던진다. 이 경고가 심리를 흔들면서 신탁에 의존하게 되고 결국 비극적인 결말로 향한다.
과학이 지배하는 사회가 됐지만 신탁은 여전히 힘을 발휘한다. 심리검사, 타로점, 사주, 기도 등 점복 행위를 비롯해 손바닥에 ‘왕’(王)자를 쓰고 나타난 대통령 후보에 이르기까지.
저자는 종교적 신탁 외에도 일상에서 여러 예언과 명령을 어떻게 받아들이느냐에 따라 상황이 달라진다고 강조한다. 어떤 신탁을 절대화해 신탁에 매달릴 때, 신탁이 일상을 방해할 정도로 작동할 때 신탁 콤플렉스는 실체를 얻는다.
그러나 신탁을 그저 참조 사항으로 여긴다면 콤플렉스와 결합하지 않고 힘을 잃는다. ‘삼일 안에 저승사자가 찾아온다’는 신탁을 슬기롭게 회피한 ‘멩감본풀이’ 이야기처럼 신탁쯤이야 얼마든지 피할 수 있다. 신탁 콤플렉스는 결국 신탁을 대면하는 인간에 달렸다는 의미다.
2024-01-26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