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세계의 가난은 사라지지 않는가/장 지글러 지음/양영란 옮김/시공사/200쪽/1만 3000원
프란치스코 교황이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한 정치개혁과 경제개혁을 촉구하고 나섰다. 교황은 신자유주의 주요 이론인 낙수효과와 파급효과에 관해 “신자유주의 신념의 도그마”일 뿐이라며 “사회 구조를 위협하는 새로운 유형의 폭력을 조장하는 불평등을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엔 인권이사회 자문위원으로 최초의 식량특별조사관을 지낸 장 지글러의 ‘왜 세계의 가난은 사라지지 않는가’는 전 세계를 잠식한 자본주의의 이면을 고발한다. 장 지글러는 세계 곳곳의 충격적인 기아 실태를 고발한 전작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로 잘 알려졌는데, 책은 그 연장선에 있다.
흔히 사람들은 ‘자본주의’가 역사 이래 최대 풍요를 가져왔다고 말한다. 하지만 주위를 둘러보면 비참하고 가난한 사람들의 수는 셀 수 없을 만큼 늘어났다. 셀럽들이 하룻밤에 수십억원을 들여 파티하는 사이, 백화점에서 명품 쇼핑에 혈안이 된 사이 지구 어디선가는 5초에 한 명씩 영양실조에 걸린 아이들이 죽어 간다. 불평등의 현실이 더 명징해졌지만, 각국 정부는 불평등 해결을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는다.
물론 자본주의가 폐해만 있는 것은 아니다.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백신 연구는 물론 기후변화 위기를 이겨 내기 위한 다각도의 노력도 어떤 측면에서 보면 자본주의 덕에 가능하다. 하지만 장 지글러는 자본주의가 준 작은 편의가 전 세계에 가져온 폐단을 덮지는 못한다고 주장한다. 자본주의는 제3세계의 고통과 빈곤을 먹고 풍요로워진다면서 이를 ‘식인 풍습’이라고 일갈했다. 그는 “세계에서 가장 가진 것이 많은 85명의 억만장자가 세계에서 제일 가난한 사람 35억명이 소유한 것을 모두 합친 것만큼의 부를 소유”하는 것이 과연 옳으냐고 묻는다.
부자 나라가 가난한 나라를 돕는 일도 실상 허구에 지나지 않는다. 부자 나라가 가난한 나라 발전 비용을 대지만, 그것보다 훨씬 더 많은 이자가 가난한 나라에서 부자 나라로 간다. 거대한 부의 흐름, 즉 자본주의를 우리가 어떻게 할 수 있느냐고 묻는 사람들이 많다. 그런 사람들을 향해 장 지글러는 ‘세계 시민’으로서 “부당하고 불평등한 현실에서 눈을 돌리지 말고 변화를 위한 행진에 합류할 것”을 촉구한다. ‘고작 나 하나가’ 뭘 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대신 ‘들불처럼 일어나는 우리’가 되자는 것이다. 불평등 없는 세상은 쉬이 오지 않는다. 가장 시급한 일은 불평등이 만연하다는 현실을 우리가 모두 ‘함께’ 인식하는 일이다.
2020-10-16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