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필 선언’ 후 첫 시집 …안도현 “작고, 느린 것들의 가치 쓸 것”

‘절필 선언’ 후 첫 시집 …안도현 “작고, 느린 것들의 가치 쓸 것”

이슬기 기자
입력 2020-09-22 15:46
수정 2020-09-22 15:4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첫 시집을 낸 것처럼 두근거려”소감
40년 전주 살이 끝 고향 경북 예천으로
“경제·문화적으로 소외된 고향 알릴 것”

이미지 확대
안도현 시인
안도현 시인 안도현 시인이 22일 온라인으로 열린 시집 ‘능소화가 피면서 악기를 창가에 걸어둘 수 있게 되었다’기자간담회에서 소회를 밝히고 있다.
창비 제공
“20대 초반부터 시를 썼는데, 세상에 바라는 것들이 아주 많았어요. 세상은 가만히 움직이지 않고 버티고 있는데, 나 혼자 조바심 내고 시로 뭔가를 해 보려고 했고요. 4년 넘게 시를 쓰지 않고 보니, 시를 쓰지 않는 시간이 시를 쓸 때보다 더 좋았던 게 아닌가 싶어요. 시에 대한 욕심도 덜 부리게 되고, 시 비슷한 게 나한테 오면 뭐든지 쓸 수 있다는 자신감도 생겼어요.”

‘연탄재 시인’ 안도현이 돌아왔다. 2013년 절필 선언 이후 처음 출간하는 자신의 열한 번째 시집 ‘능소화가 피면서 악기를 창가에 걸어둘 수 있게 되었다’(창비)를 들고서다. 22일 온라인으로 진행한 출간 기념 기자간담회에서 시인은 “마치 첫 시집을 낸 것처럼 두근거린다”고 소감을 전했다.

사실 “박근혜가 대통령인 나라에서는 시를 단 한 편도 쓰지 않겠다”던 시인의 절필 선언은 그 자체로 충격적이다. 4년 후, 시인동네에 ‘그릇’과 ‘뒤척인다’를 발표하기까지 시인은 시를 잊고 살았다. “20대 때는 불의한 권력에 시라는 것을 가지고 맞설 수도 있다고 생각했어요. 박근혜 정부 때는 오히려 내가 시를 포기함으로써 맞서는 자세를 보여 준다는 생각이었어요.” 다시 돌아온 시인의 시집에는 사람보다 더 기민한 개체인 식물에 대한 예찬(‘식물도감’), 어머니·고모 등 여성 가족의 사연을 정리한 시 2편(‘고모’, ‘임홍교 여사 약전’) 등이 실렸다. “이 세상을 오랫동안 살아온 분들의 삶 자체가 시”라는 생각으로 빚어냈다.

올 2월, 시인은 40년간 타향살이(전북 전주)를 접고 고향인 경북 예천으로 터전을 옮겼다. 경제적, 문화적으로 소외된 고향을 알리고자 시인은 계간지 ‘예천 산천’을 만들었다. 지역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일주일에 한 번씩 시를 가르치기도 한다. 지난 반년간은 ‘손이 하얀 서생’이 ‘노가다’에 얼굴이 그을리는 기간이었다. “80년대에 시를 쓰는 제 머릿속에는 늘 민주화, 통일, 노동해방 같은 개념들이 많이 있었어요. (요즘에는) 좀더 작고, 느린 것들의 가치를 시로 써 보는 게 중요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슬기 기자 seulgi@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