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비의 분위기’ 펴낸 박민정 작가
데뷔 12년차인 박민정 작가는 “최근 2~3년은 재장전의 시간이었다”고 말했다. “자기복제를 반복하면서 ‘좋다’는 평가를 재생산하지 않고, 변주를 하면서 어렸을 때의 날카로운 눈으로 세상을 보고 싶었다”며, 그러기 위한 시간이 필요해서 “많이 쉬었다”고 부연했다.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존재마저 잊혀져 가던 쇠락한 외국계 포털 회사는, 중학생 소년이 업로드한 ‘비동의 유포 성적 촬영물’로 세간의 관심을 받는다. 영상 분석을 맡은 회사의 8년차 과장 ‘나’는 19세기 말 구경거리로 전락했던 프랑스 파리의 시체 공시소 ‘모르그’를 떠올린다. 어린 시절, UFO급 벙커에서 잠깐 죽다 살아난 기억과 함께. 소설집 ‘바비의 분위기’(문학과지성사)에 실린 단편 ‘모르그 디오라마’의 내용이다.
“‘그렇게까지 기분 나쁜 건 아니었어’라는 진술까지 성폭력의 경험을 자기 맘대로 조합해서 얘기하고 있는 징후적 표현이라고 봤어요.” 최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만난 박민정 작가가 말했다.
여성 승무원의 착취 구조를 해부한 전작 ‘미스 플라이트’(민음사)처럼 여성 서사의 가장 첨예한 부분을, 작가는 2009년 데뷔 이래 줄곧 다루고 있다.
박민정 소설이 ‘지성의 소산’(송종원 문학평론가)이라 불리는 이유. 역사적 모티프와 현실 문제를 병치해 ‘과거에 해결하지 못한 폭력이 오늘도 반복되고 있음’을 그리면서도, 구조 속 개개인의 옳고 그름을 명확히 따지기 때문이다. 특히나 세월이 흘러 권력자가 된 이에 대해서는 더욱 그렇다.
수록작 ‘신세이다이 가옥’에서, 후암동의 적산 가옥을 그러쥐며 살던 그악스러운 할머니는 딸이라는 이유로 아이를 해외 입양 보내고 어린 손녀에게 거침없이 따귀를 올려붙인다. 할머니 자신도 가부장제 구조 속 개인이지만, 권력자가 돼 이를 재생산하는 모습이 파워 악당, 빌런에 가깝다.
“‘너도 내 나이 되면 알게 될 거야’라던 어른들 말이, 저는 나이가 들수록 혐오스러워요. 그 나이가 되고 나니 보이는 건, ‘선배들은 내가 불쌍하지도 않았나? 어떻게 어린 사람한테 그렇게 했지?’거든요.”
가령, 모진 시집살이를 겪은 며느리가 시어머니가 된 뒤 똑같이 재현하는 모습이 그렇다. 작가는 김현 시인의 말을 떠올렸다. “‘얘, 며늘아. 뭐 좀 끓여와라’, 이런 시대는 아니어도 ‘우리 며느리는 내가 없을 때 제일 행복한가봐’라고 말하는 시대”라고. 본질적으로 달라진 게 없다는 거다.
“사람이 권력을 갖게 되면 윤리의식이 흐려지고 눈에 뵈는 게 없어지는 게 자연적인 이치라는 생각이 들면서도, 자기가 당했던 걸 타인에게 그대로 준다? 모든 사람들이 그런 건 아니라고 생각해요.” 모든 사람이 그렇지 않은 걸 알아서, 작가는 오늘도 쓰는 것처럼 보였다.
이슬기 기자 seulgi@seoul.co.kr
2020-09-16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