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미니즘·식물 철학의 새로운 만남

페미니즘·식물 철학의 새로운 만남

손원천 기자
손원천 기자
입력 2020-08-27 17:18
수정 2020-08-28 01:2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식물의 사유
루스 이리가레·마이클 마더 지음/이명호·김지은 옮김
알렙/360쪽/1만 8000원

이미지 확대
페미니즘 철학자인 루스 이리가레와 ‘식물 철학’을 연구하는 마이클 마더가 나눈 편지를 엮은 책이다. 16개 주제에 대해 서로의 생각을 교환한 것이 책의 뼈대를 이룬다. 가장 궁금한 건 페미니즘 철학과 식물 철학이 어느 지점에서 교집합을 이룰 수 있느냐는 거다. 여성과 남성은 각기 다른 성적 존재이며, 자기 안의 자연의 리듬에 가장 잘 어울리는 문화 질서를 만들고 향유할 성적 권리를 지닌다는 것이 페미니즘의 요체일 것이다. 저자들은 이 페미니즘의 원리와 식물성이 서로 공명한다고 본다.

이리가레는 서문에서 “우리가 책을 함께 쓰게 된 것은 자연과 생명이 처한 현 상황에 대한 우려 때문”이라고 밝힌다. 그런데 왜 하필 식물이 대안 모색의 핵심으로 간주됐을까. 그동안 인간과 동물에 비해 식물에 대한 사유는 부족했다. 식물은 원자재 정도로 치부됐을 뿐, 인간이 그 일부를 이루는 생명의 토대로 이해되지 못했다. 그러니 식물성과 연대하는 건 곧 생명의 근원에 대한 사유를 길어 올리는 것과 같다는 게 저자들의 생각이다.

저자들의 공통된 관심은 하이데거를 경유해 초기 그리스 철학으로 돌아가는 것이다. 하이데거가 그리스 철학에서 읽어낸 ‘퓌시스’(phusis·자연)는 죽어 고정된 물체가 아니라 ‘스스로 자라고 변화하는 물질’이다. 이런 속성을 가장 잘 보여 주는 존재는 ‘퓌톤’(phuton·식물)이다. 저자들은 이동과 변화가 불가능한 존재로 간주됐던 식물에게서 퓌시스를 발견해 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새롭게 읽어 낼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저자들이 말하려는 건 결국 ‘인간 되기’란 자신에게 주어진 자연적 속성을 문화적으로 키워 내는 것이지, 자연과의 분리나 단절이 돼서는 안 된다는 것이라 여겨진다. 다만 식물로부터 자연과 더불어 성장하는 존재 양식과 자세를 배우자는 건데, 이를 설명하는 방식이 이렇게 어려워야 할까 싶다.

손원천 선임기자 angler@seoul.co.kr



2020-08-28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