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은 왜 집단에 집착하나

인간은 왜 집단에 집착하나

김성호 기자
입력 2020-08-20 17:32
수정 2020-08-21 01:5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곤충학계 인디애나존스’ 불린 저자
무리에 속하려 애쓰는 인간 탐구

정체성의 ‘표지’와 무리짓기 제휴
다른 동물과 달리 거대 국가 이뤄
표지 공유되지 않으면 사회는 종말
이미지 확대
침팬지들은 자신의 존재를 알리는 목소리인 ‘팬트 후트´(pant hoot)를 통해 무리를 짓지만 구성원 모두가 서로 완전히 알아볼 수 있을 때만 함께 사는 집단생활이 가능하다. 서울신문 DB
침팬지들은 자신의 존재를 알리는 목소리인 ‘팬트 후트´(pant hoot)를 통해 무리를 짓지만 구성원 모두가 서로 완전히 알아볼 수 있을 때만 함께 사는 집단생활이 가능하다.
서울신문 DB
인간무리/마크 모펫 지음/김성훈 옮김/김영사/740쪽/2만 9800원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라 한다. 다른 동물과 달리 나와 상관없는 무리와도 함께 어울리며 협력하는 특성과 우월의 강조일 것이다. 하지만 개미나 벌처럼 인간 못지않게 사회조직을 갖춘 무리 동물이 적지 않다. 게다가 인간 사회에선 불화, 갈등으로 인한 마찰과 파국이 다반사다. 사회는 꼭 있어야 하는 것일까. 영원히 지속되는 인간의 필수 관계일까.
이미지 확대
`곤충학계의 인디애나존스´로 불리는 미국 하버드대 인간진화생물학과 연구원 마크 모펫의 `인간무리´는 무리 지어 살려 애쓰는 인간 모습을 색다른 각도에서 조망해 흥미롭다. 무엇보다 `인간의 모든 사회는 결국 종말을 맞을 것´이란 강조가 눈에 띈다. 어차피 끝이 보이는 사회라면 그 속에서 부대끼며 살아가는 인간은 무엇을 해야 할까.

마크 모펫의 주장에서 가장 눈길을 끄는 대목은 바로 나와 다른 인간을 구별하는 `표지´다. 인간은 다른 동물과 달리 남과 차별화된 정체성의 표지를 무리 짓기와 제휴에 활용할 수 있으며 그런 장점이 국가 같은 거대 사회로 발전할 수 있었던 핵심이라고 설명한다. 전혀 면식 없는 많은 사람들이 운집한 카페를 자연스럽게 드나드는 장면을 연상하면 이해가 쉬워진다.

물론 일부 동물들도 표지를 갖춰 공동의 집단 생활을 유지한다. 자신의 존재를 알리는 목소리인 `팬트 후트´(pant hoot)를 써 소통하며 집단을 꾸리는 침팬지나 화학물질를 분비해 조직과 구성원을 움직이는 개미, 냄새로 동료들과 소통하며 일사불란하게 이동하는 향유고래가 대표적인 예다.

하지만 이 경우 모든 구성원이 서로를 알아봐야만 무리와 집단을 유지할 수 있다. 동물들은 정체성 표현과 소통, 제휴의 수단인 `표지´ 조절과 융합에 실패해 결국 거대 사회 조직을 만들 수 없다는 것이다. 이를테면 사자가 전 대륙을 포괄하는 거대 왕국을 결코 건설할 수 없는 이치다.

수렵채취인은 고대의 생존 방식을 살던 옛사람이 아니라 우리와 전혀 다를 것이 없는 `현재형 시제´의 사람들이란 주장도 흥미롭다. 저자는 원시의 수렵채취인이 뚜렷이 구별되는 사회들을 가지고 있었고 그것들은 지금 사회처럼 정체성의 표지로 구별됐다고 강조한다. 우리 선조들이 `소속 신분증´을 이용하는 진화 단계를 거치면서 사회의 대규모 성장을 가능하게 했지만 지금은 이것이 간과됐다고 지적한다.

그렇다면 인간은 언제까지 사회를 유지할 수 있을까. 저자는 이 대목에서 `기본적으로 애국심이란 특정 국가를 두고 내가 태어났으니 그 나라가 세계 최고라고 하는 확신´이란 조지 버나드 쇼의 일갈을 소개한다. 그러면서 사회를 하나로 묶어 주던 표지가 공유되지 않아 사람들이 스스로 더이상 함께 있을 수 없다고 생각할 때 사회가 분파로 갈라지게 된다고 말한다. 이를테면 미국에서 코로나19 감염 예방 수단인 마스크 착용을 놓고 정치적 분란이 첨예하게 일고 있는 식이다.

저자는 고대로부터 집단 간 불화로 점철된 우리 종의 역사에서 벗어나려면 타인을 덜 인간적인 존재, 심지어는 벌레 같은 존재로 보려는 욕구를 더욱 잘 이해할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 인간은 겉으론 공존 불가능해 보이는 타인들과의 관계를 활용할 수 있는 소질을 공유하고 있다는 저자는 이런 말을 남기고 있다. “우리는 분열될 것이며, 분열된 우리는 버텨야 한다.”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
2020-08-21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