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데믹 패닉/슬라보예 지젝 지음/강우성 옮김/북하우스/200쪽/1만 5000원
온건 좌파를 공격하는 급진 좌파, 그래서 항상 논쟁을 부르는 철학자 슬라보예 지젝 류블라냐대 교수가 ‘팬데믹 패닉’에서 꺼내 든 것은 ‘강력한 국가’와 ‘공산주의’다. 질병을 막기 위해 국가가 힘을 발휘하지만 완전한 공산주의는 아닌, 일종의 ‘변종 공산주의’다.
슬라보예 지젝 류블라냐대 교수
우리를 피로하게 만드는 내적인 한계와 자기 규제를 주장한 한병철의 저서 ‘피로사회’에 대해서는 사회문제를 내적인 문제로 속 편하게 생각하지 말라고 지적한다. 불평등을 양산하는 계급차별 시스템이 그대로 존속하는 한 사회문제는 그저 자신과의 투쟁으로 판단할 수 없다는 뜻이다.
그러면서 대중적 무질서를 동반한 거친 생존주의의 폭력, 공포에 찬 린치 같은 ‘공공연한 야만’보다 경제적 야만의 형태가 더 두렵다고 말한다. 이런 경제 시스템을 바꾸지 않은 채 기회비용만 따져 한시적 위기를 넘기려는 조치들은 결국 우리 모두의 생명까지 위협할 것이라고 경고한다.
저자에게 코로나 사태는 인류가 만들고 영위해 온 시스템의 자기모순이 확연하게 드러난 정치적 사건이다. 사회문제를 철학 이론으로 도출하는 데에 탁월한 그의 장기가 돋보이는 부분이다. 대안으로 꺼내 든 공산주의는 유토피아적인 공산주의가 아니라 최소한의 생존을 위해 실행하는 공산주의다. 예컨대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가 철도의 일시적인 국유화를 주장했던 것처럼 재난에 맞서는 이른바 ‘재난 공산주의’인 셈이다.
그가 여태껏 주장해 온 대로, 사유의 중요성에 관한 강조도 잊지 않는다. ‘위기를 맞아 사람들이 잠시 멈춰 서서 생각할 기회를 얻은 것은 코로나19가 준 선물’이라는 농담과 함께, 항상 깨어 있으라는 충고를 덧붙인다. 경제 우선을 외치는 야만, 좌파인 척만 하는 얼치기 좌파들에게 속지 말고 정신 똑바로 차리라면서, 저자는 뉴 노멀의 시대를 맞은 우리의 자세를 칸트의 입을 빌려 이야기한다.
“복종하되 사유하고, 생각의 자유를 지키라.”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20-06-26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