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과 사회, 그 내밀하고 치명적인 폭력

성과 사회, 그 내밀하고 치명적인 폭력

김성호 기자
입력 2020-06-18 17:52
수정 2020-06-19 01:5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폭력의 위상학/한병철 지음/김태환 옮김/김영사/232쪽/1만 4800원

이미지 확대
고대 로마에선 `무누스 글라디아토리움´이라는 처형이 공개적으로 열렸다. 칼에 의한 죽음과 불에 의한 죽음, 야수에 의한 죽음으로, 범죄자가 굶주린 맹수에게 갈기갈기 찢겨 죽는 야수에 의한 죽음은 영화에서도 흔한 장면이다.

이런 죽임의 폭력은 황제 숭배의 본질적 요소이며 화려하게 연출된다. 만인 앞에 무시무시한 피의 폭력을 보여 줘 지배자의 권력과 위엄을 다지는 양식이다. 이런 국가 차원의 전시적 폭력은 이제 거의 찾아볼 수 없다. 하지만 약자에 대한 물리적 폭력과 혐오 범죄가 쏟아지고 은폐된 폭력을 까발리는 증언이 폭발한다. 과연 무슨 차이가 있을까.

베를린예술대 교수를 지낸 재독 철학자 한병철 박사는 `폭력의 위상학´을 통해 그 폭력의 역사성과 본질을 날카롭게 파고든다. 특히 지금 시대의 폭력이 오히려 과거의 야만적인 전시성 폭력보다 더 위험하다고 강조해 눈길을 끈다.

폭력의 위상은 다양하게 변해 내려온다. 태고의 희생 제의에서 흔한 `피의 폭력´, 참수를 명하는 고대 `주권자의 폭력´, 중세의 무자비한 `고문 폭력´과 가스실의 `무혈 폭력´, 감정을 짓밟는 `언어 폭력´까지. 폭력은 점차 정당성을 상실해 갔지만 지금 세계에서 폭력은 더 내면화하고 심리화하고 있다는 게 저자의 지론이다.

`성과사회는 자기 착취의 사회´라고 단정한 저자는 타인이나 외부에서 오는 테러보다 내재적 테러가 더 위협적이라고 경고한다. 효율성에 쫓긴 사람들은 가해자인 동시에 희생자가 되며 자기 착취와 우울증, 소진의 덫에 걸린다. 이런 `긍정성´의 폭력은 경고도 없고 뚜렷한 적도 없기 때문에 `부정성´의 폭력보다 더 치명적일 수밖에 없다.

역자의 후기가 인상적이다. “이 책의 어조는 성과사회의 필연적인 파괴와 몰락을 강조하는 것처럼 들리지만 역설적으로 이 저주스러운 굴레에서 어떻게 벗어날 수 있을 것인가를 묻고 또 묻는 저자의 번민을 드러내 준다.”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
2020-06-19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