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석영 ‘철도원 삼대’ 초판 1만부 소진
여든이 넘으면 절필이 속출하는 현실 속에서, ‘철도원 삼대’는 황석영 작가가 작심하고 쓴 소설이다. 2일 서울 마포구 서교동 창비서교빌딩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그는 “작가는 죽을 때까지 써야 한다”며 “그게 세상에 대해 가지는 책무”라고 했다.
창비 제공
창비 제공
노동자 삼대·고공농성자인 증손 아울러
다음 작품은 코로나 이후 세계 동화 구상
“전날 광주 행사에 갔다가 막걸리를 한 잔 했어요. 광주에서는 5월 27일이 전남도청에서 시민들이 진압당한 날이라 중요하게 생각하거든요. 조선 술이 은근 끈기가 센 지 술이 안 깨서 집(전북 익산)에서 12시쯤 쓰러져 잤어요.”
지난달 28일 기자간담회에 불참했던 황석영(77) 작가는 “그렇게 대형사고를 치고 말았다”며 미안함부터 드러냈다. 2일 서울 마포구 서교동 창비서교빌딩에서 다시 열린 ‘철도원 삼대’ 기자간담회에서다. “펑크를 내는 바람에, 그게 더 (신간) 홍보가 됐다”며 ‘황구라’ 특유의 너스레도 곁들였다.
황석영(77) 작가가 원고지 2000장 분량으로 낸 소설 ‘철도원 삼대’는 지난 주말 새 초판 1만부가 모두 소진됐다. 철도 노동자 삼대와 고공농성을 벌이는 공장 노동자 증손까지 아우르는 한국 노동사 100년이다.
집필 배경에 대해 작가는 2017년 펴낸 자서전 ‘수인’(문학동네) 이야기를 꺼냈다. 자신의 생애를 훑으면서 “간이나 쓸개 같은 게 떨어져 나간 것 같더라”던 그는 “할 만큼 했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했다. 그러면서도 ‘장길산’을 쓰면서 거처를 19번 옮긴 것처럼 ‘철도원 삼대’를 쓰면서도 보따리 싸고 옮겨다녔다. “젊을 때처럼 하루 8~10시간 앉아서 썼는데, 확실히 기운이 달려 주인공 이름도 헷갈려서 대단히 고생을 했어요.”
황 작가는 자신의 문학을 방북으로 수감됐던 1993~1998년 전후로 나눴다. 전반기가 현실주의와 리얼리즘이었다면, 이후엔 이를 확장한 형식실험을 가미했다. 민담 형식을 차용한 신작은, 그가 1989년 방북 때 만난 서울 영등포 출신의 평양백화점 부지배인의 이야기가 모태가 됐다.
그는 오늘날 고공농성을 감행할 만큼 열악한 노동자들의 현실을 언급했다. “노동시장 유연성이라면서 비정규직화하고, 자본 성격이 세계화하면서 노동 조건은 더 열악해졌다”면서 “거의 외곽에서 방치된 채로 사고를 많이 당한다”고 했다. 신문에 노동 현실에 대한 칼럼을 쓰는 김훈 작가 얘기도 꺼냈다. “자기를 보수라고 하는 김훈도 노동을 얘기한다”며 “나는 보수, 진보 아우르는 사람이다. 전체 사회가 같이, 노동자들의 좋은 조건을 만들기 위해서 노력해야 한다”고 부연했다.
황 작가는 ‘노벨상을 꿈꾸는가’라는 질문에는 “낡은 얘기”라고 일축했고, 남북관계를 묻는 질문에는 “코로나 시국이 가시면 다시 대화가 시작되지 않을까 기대한다”고 말했다. 다음 작품은 코로나 이후의 세계로 탈인간중심주의 철학을 담은 동화다. “마침 살고 있는 곳이 원불교의 발상지라, 소태산의 어린 성자가 깨달음을 얻는 과정을 하나 쓸까 싶습니다.”
이슬기 기자 seulgi@seoul.co.kr
2020-06-03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