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창은 교수 北 ‘조선문학’ 단편소설 분석 “소설처럼 현실에서 체제·개인 사이 혼란”
오창은 중앙대 다빈치교양대 교수는 격월간지 ‘녹색평론’ 172호(5·6월호)에 이런 내용을 담은 ‘북한문학은 왜 전쟁을 미화하는가’를 실었다.
백상균의 ‘로병동지’(2017년 5월호)는 정비 기술이 뛰어나지만 국가를 위해서만 기술을 쓰길 원하는 전쟁 노병 정춘성 노인을 그렸다. 김기성의 ‘금반지’(2016년 11월호)에는 만복과 옥란의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 당시를 담았다. 만복은 지주의 손에서 옥란을 구하고 결혼까지 하지만 전쟁이 터지면서 입대한다.
소설에서는 개인의 희생이 공통으로 눈에 띈다. 리창기는 전쟁 선두에서 ‘국보급 목청’을 잃고 만다. 정 노인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깍듯하게 모시는 지위에 있지만 가족과 갈등을 겪다가 결국 가출해 성산수력발전소 건설장에서 홀로 살아간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영웅 칭호를 받은 만복은 목숨을 잃는다. 오 교수는 이 소설들이 지배권력과 민중의 관계를 은유한다고 설명했다. 북한은 조직화한 폭력을 통해 인민을 억압하고 체제를 간신히 유지하면서 동시에 소설 등에 희생의 아름다움을 부각해 체제의 정당성을 준다.
냉정하게 판단하면 소설 주인공들도 현실과 이상의 모순을 겪는다. 현실의 북한 주민도 다르지 않다. 체제와 개인 사이에서 갈등한다는 게 오 교수의 분석이다. 예컨대 ‘금반지’는 만복의 마지막 편지를 받고 하염없이 눈물을 흘리는 옥란의 모습으로 끝을 맺는다. 만복의 영웅 칭호에 기뻐해야 할지 그의 죽음에 슬퍼해야 할지 난감한 상태가 결국 북한 주민들의 신세라는 뜻이다.
오 교수는 “개인의 생명과 행복보다는 집단의 안위와 체제의 유지를 우선시하는 ‘준전시적 위기감’이 북한 인민의 일상을 지배하지만, 민중은 국가주의에 온전히 포섭되지 않는 삶의 윤리를 끊임없이 탐색하고 실천해 왔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권력의 주인이 민중일 때만이 구성원의 자율에 기반한 판단과 결과(희생)가 아름다울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20-05-12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