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탁기의 배신/김덕호 지음/뿌리와이파리/376쪽/1만 8000원
서구에서 1846년 처음 특허를 받은 세탁기가 본격적으로 일반 가정에 공급된 건 1920년대 초였다. 당시만 해도 세탁기는 ‘전기 하인’ 등으로 불리며 주부들의 가사노동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여 줄 발명품으로 기대를 모았다. 확실히 세탁기가 힘든 빨래를 쉽게 만들고 빨래의 과정을 단순화시키긴 했다. 문제는 그와 더불어 개인 위생과 청결 기준도 상승했다는 것이다. 가족들은 더 자주 옷을 갈아입었고, 더 자주 침대 시트를 갈았으며, 더 많은 양의 빨래를 만들어 냈다. 결과적으로 세탁기를 들여놓았는데도 세탁에 드는 총시간은 오히려 증가하는 희한한 역설이 생겨났다.
‘세탁기의 배신’은 이처럼 여성의 가사노동을 덜어 주기 위해 만들어진 문명의 이기가 오히려 여성의 노동 해방을 방해하고 짐을 지우는 모순, 이른바 ‘코완의 패러독스’를 논증하고 있는 책이다. 저자는 이를 위해 이반 일리치, 루스 코완 등 학자들의 ‘그림자 노동’(공식 노동 통계에 잡히지 않는 여성의 가사노동)에 대한 연구를 검토하고 서구 페미니즘의 역사와 당시 사회문화적 트렌드까지 훑어낸다. 특히 20세기 전반을 통해 미국 가정마다 세탁기, 청소기, 냉장고 등 가전제품을 줄줄이 사들였는데도 여성들의 가사노동 시간이 늘어난 이유가 뭔지 꼼꼼하게 분석하고 있다.
지난 100년 가운데 60년 동안은 여성들의 ‘그림자 노동’ 시간에 변화가 없거나 오히려 늘어나는 추세를 보였다. 여성들의 가사노동 시간이 조금씩 줄어들기 시작한 건 1960년대 들어서다. 저자는 이 역시 넘쳐나는 가전제품 덕분이 아니라 남자도 가사에 참여해야 한다는 사회인식의 변화 때문이라고 본다. 그러니 현재와 같은 소비자본주의 체제 아래서는 아무리 많은 가전제품이 개발된다 해도 여성들이 ‘코완의 패러독스’에서 완전히 벗어날 수는 없다.
이 역설의 근본적인 해결책은 하나다. 가사노동이 남편과 아내 사이에서 공평하게 분배되는 것. 여기에 자녀들이 자신의 몫을 찾아 부모를 돕는 것이 해결의 첫걸음이자 유일한 해결책이라고 저자는 주장한다.
손원천 선임기자 angler@seoul.co.kr
‘세탁기의 배신’은 이처럼 여성의 가사노동을 덜어 주기 위해 만들어진 문명의 이기가 오히려 여성의 노동 해방을 방해하고 짐을 지우는 모순, 이른바 ‘코완의 패러독스’를 논증하고 있는 책이다. 저자는 이를 위해 이반 일리치, 루스 코완 등 학자들의 ‘그림자 노동’(공식 노동 통계에 잡히지 않는 여성의 가사노동)에 대한 연구를 검토하고 서구 페미니즘의 역사와 당시 사회문화적 트렌드까지 훑어낸다. 특히 20세기 전반을 통해 미국 가정마다 세탁기, 청소기, 냉장고 등 가전제품을 줄줄이 사들였는데도 여성들의 가사노동 시간이 늘어난 이유가 뭔지 꼼꼼하게 분석하고 있다.
지난 100년 가운데 60년 동안은 여성들의 ‘그림자 노동’ 시간에 변화가 없거나 오히려 늘어나는 추세를 보였다. 여성들의 가사노동 시간이 조금씩 줄어들기 시작한 건 1960년대 들어서다. 저자는 이 역시 넘쳐나는 가전제품 덕분이 아니라 남자도 가사에 참여해야 한다는 사회인식의 변화 때문이라고 본다. 그러니 현재와 같은 소비자본주의 체제 아래서는 아무리 많은 가전제품이 개발된다 해도 여성들이 ‘코완의 패러독스’에서 완전히 벗어날 수는 없다.
이 역설의 근본적인 해결책은 하나다. 가사노동이 남편과 아내 사이에서 공평하게 분배되는 것. 여기에 자녀들이 자신의 몫을 찾아 부모를 돕는 것이 해결의 첫걸음이자 유일한 해결책이라고 저자는 주장한다.
손원천 선임기자 angler@seoul.co.kr
2020-05-08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