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세계대전의 신화와 진실/로널드 스멜서, 에드워드 데이비스 2세 지음/ 류한수 옮김/산처럼/600쪽/3만 8000원
그러나 세계대전 이후 둘은 급속히 냉랭해지고, 2차 세계대전을 보는 미국의 역사관도 바뀐다. 미국 유타대 역사학과 교수이자 독일사 전공인 로널드 스멜서와 같은 대학 교수로 미국사 전공인 에드워드 데이비스 2세는 그 이유로 ‘냉전’을 꼽는다. 냉전 이후 가해자인 독일은 피해자가 되고 피해자였던 소련은 가해자가 됐다는 것이다.
이런 배후에는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이 저지른 잔혹 행위를 “독일 정규군과는 거리가 먼 나치의 소행”이라고 주장한 독일 장군들이 있었다. 예컨대 독일 육군 최고사령관 프란츠 할더 장군의 작업단은 미국 육군의 의뢰로 전쟁 관련 연구서 수백권을 미국에 제공했다. 이 연구서엔 독일의 시각이 철저하게 반영됐고, 미국은 이를 받아들여 소련에 관한 나쁜 이미지를 만들어 냈다. 독일 장군이었던 에리히 폰 만슈타인, 하인츠 구데리안, 한스 루델 등이 쓴 일련의 회고록도 일조했다.
독일군을 부각한 대중문화도 역사관 왜곡을 불렀다. 1970년대 소설가 스벤 하셀은 독일군 27기갑연대를 멋진 주인공으로 묘사한 연작소설로 히트를 쳤다. 폴 카렐은 대중 역사서를 통해 독일군을 잔혹한 공산주의에서 유럽을 지키려 싸우는 낭만적 영웅으로 만들고, 소련군이 악랄하다는 신화를 만들어 냈다.
저자들은 “새로운 해석이 경쟁을 거치지 않고 통념이 되면서 거짓 신화를 형성했다”고 꼬집는다. 고교 한국사 국정교과서를 밀어붙이던 게 불과 몇 년 전임을 고려할 때 저자들의 지적이 남 일 같지 않아 보인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20-04-24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