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권리는 희생하고 싶지 않습니다/김지윤 지음/알에이치코리아/268쪽/1만 6500원
책에서 집중하는 대상은 기득권과 부유층에서 비켜 선 약자들이다. 이른바 힘없고 돈 없는 비주류다. 아산정책연구원 여론분석센터장으로 있으면서 확인한 부조리와 불평등은 생각보다 훨씬 더 비틀어졌고 비주류의 고통도 심각했다고 한다. 기득권일수록 더 잘살고 약자의 삶은 나아질 조짐이 없다. 아픈 사람들은 부자들에 비해 훨씬 더 가난하다. 그런데도 비주류들은 불공평에 둔감하기만 하다.
책의 장점은 앉아서 주무르는 수치나 통계 놀음이 아닌, 체험과 고민의 결정이란 점이다. 미국 유학 시절 겪었던 일본인 장애인 친구며 동성애자, 소수자, 이주민에 얽힌 솔직한 이야기들이 소외의 두께와 아픔을 실감 있게 전한다. 여성들에게 더 잔혹한 노동구조, 다이아몬드 수저까지 등장한 기득권 독식, 죽음에 더 가깝게 다가앉은 취약 계층…. 그 체험의 편린들에 담아 정리하는 메시지가 명확하다. ‘기울어진 불친절에 더이상 나라가 책임져 줄 것’이라는 허망한 기대감에 속지 말자고 거듭거듭 당부한다.
기득권층이랄 수 있는 성공한 여성인 저자는 여성 문제를 놓고도 고언을 쏟아낸다. 매스컴을 통해 자주 듣는 ‘여성 비율’에 민망할 만큼 독한 말을 내고 있다. 여성단체며 여성운동가들이 여성 국회의원이며 여성 CEO 비율을 강조함은 “자신들의 입신양명을 위한 목소리라는 의구심이 든다”고까지 비판한다. 그 대신 차별이나 성희롱 탓에 남몰래 울음을 삼키는 여성에게 더 신경 쓰라고 전한다.
수도꼭지를 틀어 놓은 것처럼 물 흐르듯 풀어나가는 이야기마다 진한 앙금이 숨어 있다. ‘우리가 누릴 권리는 정말 안전한 것인가’, ‘국가와 사회의 책임에 대한 기대를 떨치자’. 비주류가 소외되지 않는 사회야말로 우리가 궁극적으로 추구해야 할 것이라는 저자는 이런 말도 남겼다. “비주류끼리의 연대야말로 주류와 비주류의 구분을 없앨 수 있는 방법이다.”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
2020-04-17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