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4~1945년 일제에 강제동원된 전북 출신 조선여자근로정신대원 100여명이 해방된 지 두 달 만에 귀국길에 오르면서 일본 하카타항에서 찍은 사진. 2005년 피해자 최모씨가 공개한 것이다.
서울신문 DB
서울신문 DB
“일본 가서 일하면 공부도 할 수 있다”는 말에 속아 바다를 건넌 이들을 기다린 것은 군수공장의 가혹한 노동이었다. 1944년 12월 7일에는 도난카이 지진으로 공장 건물이 무너져 6명이 목숨을 잃기도 했다. 아시아 태평양 전쟁이 한창이던 때 일본에 건너간 14~16세 소녀 300여명. 이들의 이름은 ‘조선반도 여자정신대 근로봉사대’다.
건설회사에서 일하던 저자는 1992년 제주도 골프여행에서 김씨를 만났다. 김씨에게 들은 이야기는 저자를 움직였다. 그의 동생 순례는 1944년 도난카이 지진으로 14살 생을 마감했다. 조선여자근로정신대 소녀들은 해방 후 고국에 돌아왔지만, 한 푼도 손에 쥐지 못했고 일본에 다녀왔다는 이유만으로 파혼·이혼당하는 일도 잦았다.
저자는 유가족과 이들을 지원하는 일본 나고야 지원회에 동참해 1999년 일본과 미쓰비시중공업을 상대로 제기한 소송에 참여했다. 이 과정이 소설만큼 극적이다. 일본인 저자와 한국인 김씨가 서로를 이해하고 우정을 쌓는 부분도 인상적이다. 잘못된 과거를 바로잡는 데 힘을 모아야 한다는 주장이 책 전반에 잘 녹았다. “일본인이지만, 이 싸움에 참가하는 것이야말로 나 자신이 인간으로서 살아가는 보루”라는 저자의 말은 일본뿐 아니라 우리에게도 큰 울림을 준다.
대한민국 대법원은 2018년 미쓰비시중공업을 상대로 한 근로정신대 소송에서 원고의 손을 들어줬다. 유가족과 나고야 지원회가 일본과 미쓰비시중공업에 낸 소송은 ‘한일조약의 청구권협정에 의한 배상·보상 문제 해결’을 이유로 1심과 항소심에서 모두 기각됐다. 조만간 나올 일본 최고재판소의 판결이 주목된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20-04-10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