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F와 리얼리즘을 넘나들며 소수자의 삶을 기록하는 윤이형 작가는 한국 페미니즘 소설의 최전선이다. 특히 지난해 8월에 낸 ‘작은마음동호회’(문학동네) 이후 작가의 관심은 여성들 사이의 관계로 수렴하는 듯하다. 흔히 ‘여적여’(여자의 적은 여자)라는 말로 폄하되는 관계 말이다. 중편소설 ‘붕대 감기’도 여성들의 우정에 대해 생각하게 하는 책이다.
소설에서는 다양한 여성들의 개별적인 서사가 이어진다. 불법 촬영 동영상 피해자인 친구에게 도움을 주지 못한 기억이 있는 미용사 지현, 영화 홍보기획사에 다니는 워킹맘이자 의식불명 아들 서균을 둔 은정, 서균과 같은 반인 딸 율아의 엄마 진경, 진경의 절친이자 출판기획자인 세연 등이다.
가부장제, 성폭력, 미러링, 탈코르셋 등의 페미니즘 이슈는 여성들끼리도 반목하게 하는 원인이 된다. 소설에서 말하는 해결책은 뜻밖에 단순하다. 우리는 저마다 삶의 무게와 피로를 지니고 있지만 그럼에도 같은 버스를 탄 사람이라는 걸 자각하는 것. 운전자는 수시로 바뀌더라도 버스에 탄 일원들은 버스가 잘 운행되도록 독려와 관심을 놓지 않아야 한다는 것. 예를 들면 이런 식이다. 서균이 미용실에서 시끄럽게 떠들자 트위터에 욕을 한바가지 썼던 지현은 이후 아이가 아프다는 얘기에 죄책감을 느낀다. 미용실 실장 해미가 함께 소리내서 읽고 털어버리자고 했지만 지현은 우스워질까 싫다. ‘너무 웃긴 일들 때문에 사람이 살기도 하고 죽기도 하고 그래. 말을 못 해서 그런 거야. 말이라도 하면 좀 나아.’(42쪽) 무심한 듯 따뜻한, 인생 선배의 말이다.
최근에 만난 초면의 여성 영화감독에게 삶의 고충을 토로했더니 말없이 손바닥에 아로마 오일을 몇 방울 뿌려 주었다. 다음날에는 ‘세상에 화가 나는 건 잘 살고 싶어서이며, 분노가 주된 게 아니라 깊게 잘 살고 싶은 마음이 근원’이라는 문자메시지가 왔다.
‘마음을 끝까지 열어 보이는 일은 사실 그다지 아름답지도 않고 무참하고 누추한 결과를 가져올 때가 더 많지만, 실망 뒤에 더 단단해지는 신뢰를 지켜본 일도, 끝까지 헤아리려 애쓰는 마음을 받아 본 일도 있는 나는 다름을 알면서도 이어지는 관계의 꿈을 버릴 수는 없는 것 같다.’(198쪽) 작가의 말처럼 그 관계의 꿈은, 꿈일지라도 이 혹독한 세상을 버티게 한다.
이슬기 기자 seulgi@seoul.co.kr
2020-01-10 3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