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멸세계/무라타 사야카 지음/최고은 옮김/살림/292쪽/1만 3000원
아이는 꼭 사랑의 결과물이어야 하는가. 결혼은 왜 이성끼리만 가능할까.
당연하지 않을 수 있으나 너무나 당연하게 받아들였던 것들에 대해 저자는 참으로 기이한 방식으로 의문을 제기한다. 현재의 가족과 출산 제도가 모두 비정상으로 여겨지는 ‘평행세계’에 있다 보면 어느새 소설 속 이야기가 진짜가 될 것만 같은 착각이 든다.
‘소멸세계’는 ‘편의점 인간’으로 주목을 받은 무라타 사야카의 2015년 작이다. ‘만약 아이를 낳는다는 것과 섹스가 반드시 직결된 것이 아니라면’ 하는 의문과 상상에서 출발한다.
이야기는 “아담과 이브가 선악과를 먹고 쫓겨났던 낙원으로 인류가 다시 돌아가게 된다면 어떨까” 하는 짧은 질문을 던지며 시작된다. 제2차 세계대전으로 많은 남성이 전쟁터로 징용되면서 태어나는 아이의 수가 극단적으로 줄어든 ‘평행세계’. 전쟁 이후 인공수정이 비약적으로 발전하면서 사람들은 모두 인공수정으로 아이를 갖게 되며 ‘섹스’는 인간에게 더이상 필요없는 일이 된다. 섹스를 통해 아이를 낳는 ‘교미’ 행위는 원시적이고 비위생적인 것으로 간주되고 부부끼리의 섹스 역시 근친상간이나 다름없다. 이런 세계에서 주인공 아마네는 초등학교 시절 자신이 인공수정이 아니라 ‘남다른 방법’으로 태어났다는 사실을 알게 되고 그 뒤 저자는 왜 엄마가 자신을 ‘교미’를 통해 낳은 것인지, 자신의 진짜 본능은 무엇인지 깨닫기 위해 사랑과 섹스에 몰두한다.
‘소멸세계’는 우리가 본능이라고 믿어 온 결혼과 출산, 가족이라는 시스템에 문제를 제기한다. 우리의 현실과는 정반대의 모습이 정상으로 보이는 세계를 통해 지금 우리가 경험하는 세계가 꼭 정상이 아닐 수 있다는 사실을 독자들은 경험한다. 저자는 주변 사람들과 결혼과 출산에 대해 얘기를 나누다가 소설의 모티프를 얻었고, 현재를 사는 것이 불편한 사람들에게 이상의 세계를 보여 주고 싶었다고 한다.
그러나 평행세계와 우리의 현실 중 어느 곳이 ‘유토피아’인지는 판단하기 어렵다. 평행세계의 아마네는 자신을 향한 남편의 성적 충동에 상처받으면서도 본능적으로 성과 사랑에 대해 생각한다. 아마네의 남편 역시 ‘인간’과 섹스를 하고 친구 주리는 연애나 섹스, 가족 제도는 부정하면서도 ‘모성’은 믿는다고 말하는 등 평행세계에서는 비정상적인 관습을 이어 나간다.
저자는 아마네의 입을 빌려 “중요한 건 어쨌든 인간이 진화하고 있다는 사실”임을 강조한다. 정상과 비정상의 경계에서 우리가 본능이라고 믿는 것들 역시 양각과 음각의 차이일 뿐 올바름의 개념은 아닌 것이다.
신융아 기자 yashin@seoul.co.kr
당연하지 않을 수 있으나 너무나 당연하게 받아들였던 것들에 대해 저자는 참으로 기이한 방식으로 의문을 제기한다. 현재의 가족과 출산 제도가 모두 비정상으로 여겨지는 ‘평행세계’에 있다 보면 어느새 소설 속 이야기가 진짜가 될 것만 같은 착각이 든다.
‘소멸세계’는 ‘편의점 인간’으로 주목을 받은 무라타 사야카의 2015년 작이다. ‘만약 아이를 낳는다는 것과 섹스가 반드시 직결된 것이 아니라면’ 하는 의문과 상상에서 출발한다.
이야기는 “아담과 이브가 선악과를 먹고 쫓겨났던 낙원으로 인류가 다시 돌아가게 된다면 어떨까” 하는 짧은 질문을 던지며 시작된다. 제2차 세계대전으로 많은 남성이 전쟁터로 징용되면서 태어나는 아이의 수가 극단적으로 줄어든 ‘평행세계’. 전쟁 이후 인공수정이 비약적으로 발전하면서 사람들은 모두 인공수정으로 아이를 갖게 되며 ‘섹스’는 인간에게 더이상 필요없는 일이 된다. 섹스를 통해 아이를 낳는 ‘교미’ 행위는 원시적이고 비위생적인 것으로 간주되고 부부끼리의 섹스 역시 근친상간이나 다름없다. 이런 세계에서 주인공 아마네는 초등학교 시절 자신이 인공수정이 아니라 ‘남다른 방법’으로 태어났다는 사실을 알게 되고 그 뒤 저자는 왜 엄마가 자신을 ‘교미’를 통해 낳은 것인지, 자신의 진짜 본능은 무엇인지 깨닫기 위해 사랑과 섹스에 몰두한다.
‘소멸세계’는 우리가 본능이라고 믿어 온 결혼과 출산, 가족이라는 시스템에 문제를 제기한다. 우리의 현실과는 정반대의 모습이 정상으로 보이는 세계를 통해 지금 우리가 경험하는 세계가 꼭 정상이 아닐 수 있다는 사실을 독자들은 경험한다. 저자는 주변 사람들과 결혼과 출산에 대해 얘기를 나누다가 소설의 모티프를 얻었고, 현재를 사는 것이 불편한 사람들에게 이상의 세계를 보여 주고 싶었다고 한다.
그러나 평행세계와 우리의 현실 중 어느 곳이 ‘유토피아’인지는 판단하기 어렵다. 평행세계의 아마네는 자신을 향한 남편의 성적 충동에 상처받으면서도 본능적으로 성과 사랑에 대해 생각한다. 아마네의 남편 역시 ‘인간’과 섹스를 하고 친구 주리는 연애나 섹스, 가족 제도는 부정하면서도 ‘모성’은 믿는다고 말하는 등 평행세계에서는 비정상적인 관습을 이어 나간다.
저자는 아마네의 입을 빌려 “중요한 건 어쨌든 인간이 진화하고 있다는 사실”임을 강조한다. 정상과 비정상의 경계에서 우리가 본능이라고 믿는 것들 역시 양각과 음각의 차이일 뿐 올바름의 개념은 아닌 것이다.
신융아 기자 yashin@seoul.co.kr
2017-08-05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