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끝별 시인, 한국 현대시 ‘패러디’로 해독
“21세기는 독자가 부활하는 시대예요. 모든 작품의 의미는 독자가 어떻게 읽느냐에 따라 달라지니까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가 발달하면서 독자들은 책에서 꽂힌 구절 하나를 인용하고 자신의 얘기를 덧붙여 새로운 창작물을 만들어 버리곤 하죠. 1990년대 이후 고급 순수예술을 부정하는 대중문화의 영리한 부상 전략이었던 패러디가 독자들의 일상으로 자유롭게 들어왔어요. 시뿐 아니라 문화 전반의 키워드가 된 패러디는 21세기 인간의 삶을 가장 잘 반영하는 창작 장치인 셈이죠.”정끝별 시인
정 시인은 이번 책에서 지난 100년의 한국 현대 시사에서 패러디(풍자적 모방)가 어떻게 쓰이고 향유됐는지 살펴본다. 김수영, 서정주, 김춘수, 김지하, 정현종, 오규원, 황지우, 이성복, 김혜순, 함민복, 박정대 등 한국 시의 거장부터 중견에 이르는 다양한 시인의 작품을 ‘패러디’란 코드로 해독한다. 그는 1980년대부터 우리 시에서 텔레비전 프로그램, 영화, 상업광고, 만화 등 대중문화가 패러디의 대상으로 들어오며 기존의 시적 규범과 형식을 거부하고 일상적 현실에 대해 독자들에게 새로운 인식을 이끌어 왔다고 짚는다.
“황지우, 박남철, 유하, 오규원이 포스트모더니즘과 함께 발아한 패러디 1세대 시인이었다면, 박정대, 황병승, 김경주가 2세대, 최근 젊은 시인 중에는 송승언, 김현, 주하림 같은 시인들이 3세대라 할 수 있어요. 3세대 시인들은 특히 패러디가 문화 전방위에 침투된 시대를 살아온 세대라 모방의 대상과 패러디가 경계 없이 어우러진 시 세계를 펼칩니다. 현실과 문화, 허구와 상상 등이 혼재된 ‘패러디적 현실’이 길러 낸 ‘패러디 키즈’인 셈이죠. 대중도 알게 모르게 자신이 ‘패러디적 현실’을 살고 자신도 패러디를 일상에서 구사하고 있다는 걸 인지하게 된다면 문화 향유가 더 즐거워지지 않을까요.”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7-06-22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