퓰리처
한국 사회를 들었다 놨다 했던 탄핵 정국, 뒤이어 치러진 장미 대선은 문재인 대통령의 당선으로 귀결되었다. 총리 후보자 등을 직접 발표한 대통령의 파격 행보, 어쩌면 정상적인 업무 수행으로 난국 탈출의 실타래 하나 정도는 풀어낸 모습이다. 물론 실타래가 다시 엉킨 곳도 적잖아 보인다. 이를테면 좌고우면했던 몇몇 공중파와 종편 방송사들, 일부 신문들은 엉킨 실타래를 풀기 위해 새로운 동력을 찾아 나선 모양새다. 매체뿐 아니라 이번 정국 내내 가시 돋친 말들을 쏟아낸 어떤 패널들은 아예 노골적으로 용비어천가라도 부를 태세다.장동석 출판평론가·뉴필로소퍼 편집장
죽기 몇 해 전 퓰리처는 “내가 죽은 뒤 사람들이 나를 그저 어느 신문의 발행인 정도로만 기억할 것을 생각하니 정말 끔찍하다. 나는 재산이 아니라 정치에 많은 열정을 쏟아부었다. 나는 나 자신을 위한 이기적인 정치가 아니라 자유와 평등이라는 보편적인 이상을 추구하는 정치에 한평생을 다 바쳤다”는 글을 남겼다. 정말 그러한가는 당대 신문을 보았던, 그리고 후대의 평자(評者)들의 몫으로 남겨졌다. 신문과 방송 등 모든 언론은 한 사회의 공기(公器)로, 더하지도 빼지도 않고 그 사회의 정치·사회·문화적 수준을 반영한다.
‘퓰리처’는 조지프 퓰리처가 남긴 공과를 통해 우리 시대 언론의 역할을 다시금 생각하게 한다. “신문은 진실을 말할 절대적인 자유를 누린다”는 말과 함께 권력의 감시자 역할에 충실했던 퓰리처는 “눈먼 왕”으로 쇠락했다. 탄핵 정국과 장미 대선을 전후해 권력의 감시자를 자처했던 언론들 가운데 몇몇은 벌써 “눈먼 왕”이 되고 있는 것 아닌가 의심스럽다.
장동석 출판평론가
2017-05-13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